이과는 틀리기 쉬운 문과 문제 [그래프 개념어16+α]
2007학년도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경제)
ㄱ에 대해 이과생은 O라고 답하기 쉽습니다. 일차함수직선는 변화율이 일정한 함수니까요. 그런데 정답은 X입니다.
만약 이 문제를 틀렸다면, 그래프 개념어 '증가율'을 잘 모르는 겁니다. 그리고 이 개념을 잘 모른다면, 수능 국어 문제 풀 때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어? 이런 건 사회탐구 문제 풀 때나 필요한 것 아닌가요?
아닙니다! 국어 풀 때도 당연히 필요합니다.
당장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 국어 10번(작문)만 봐도, 그래프 개념어 '증가율'로 정답을 만들었어요.
누가 그래프 개념어를 쫙 정리해주면 좋을 텐데,
그런 강의 어디 없을까요?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만들었습니다!
시험에 나오는 모든 그래프 개념어를 100분 동안 총정리할 수 있는 기회!
5월 30일(일) 오전 10시, Live100에서 공개됩니다.
그래프 개념어 16+α, 많이 기대해주세요~
※ 같이 읽을 만한 글: 직선↘도 '반비례'일까?
수강신청 바로가기
https://special-oa.orbi.kr/booking/gangnam/payment?showonly=349,350,351,352,353,354,355,356,357,358,359,360,361,362,363,364,365
PC에서 수강신청 권장
결제에 어려움이 있다면, Live100 결제관련 공지 참조 https://orbi.kr/0003769348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해 추합 0
올해 추합 어케 보시나요 많이 돌까요요요 아님 안 돌까요요
-
건뱃이 그냥 서성한 이하 뱃지중에 고트임
-
예비 받은 경우 4
추합 차수 돌때마다 내 앞에서 몇명 빠져나가는지 알 수 있나요? 추합 차수 늘어날...
-
왜 빨리한다하시고 밀려서… 스블 분량맘 겨울방학 때 알차게 공부해도 수학실력 많이 는다 생각하는디
-
주위에 남자만 있어 ㅅㅂ
-
itq시험 인터넷으로 보는 것 아닌가요?? 신청하는데 고사장을 선택 하라네요 ㅡㅡ
-
님드라 2
고삼이면 유튜브,넷플 이런 것들 끊어야 하는 게 맞지 ..? 난 적당히를 몰라서...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공개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고 푸틴을 조롱한 러시아 유명 가수가 경찰의...
-
일본 노래 부르지마요 12
저만 모르는 거 많이 부르지 마요
-
얼버기 7
-
아 어제 새벽 2
인증메타였어... 또 나만 못봤찌..
-
ㅇㅂㄱ 8
아침인증
-
수능3등급 재종학원 어디가 나을까요 시대인재 목동 vs 시대인재 대치 vs 대성...
-
얼버기 1
수특 문학사러 간 준비 ㄱㄱ혓
-
심찬우 문학 에필로그 사려고 하는데 에필로그 가격이35000 이던데 에필로그...
-
얼부기 3
졸ㄹ려..
-
저만 일반고나온것같음
-
얼버기 0
배고파
-
중요한 거 있었는데 인증안되서 못 찾아봄
-
뱃지가 생겼네요, 기분이 좋아요.
-
같은학교 같은과 지망 학교친구가 잇는데 우리둘다 학원안다니고 열품타 같이해서...
-
손창빈쌤 수업재밌다
-
결혼하고싶다ㅏ 0
다 필요없고 그냥 평범하게 남편한테 사랑받으며 지내고싶어 ㅜㅜ
-
대학 1
중대미커 홍대경영 세무사노리는데 닥전인가요?
-
예비 53이면 빠질 수 있을까요…?! 698.6이었나 그럽니다 발뻗잠해도 될까요ㅠㅠ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청해 도중에 시도 때도 없이 졸 듯...
-
얼버기 8
사실 잔 적 없음
-
티라노의 아종 저 공룡이 한반도에서 발견됬다는데 진짜인가? 0
운지사우르스(학명:yehaun/muhuynunijy)는 노라기후기 (1억 523년...
-
서연고 빵꾸 + 23수능이랑 점수분포 비슷하니 23수능급으로 많이돌것이다 vs...
-
마리카락 얼정도로 춥습니다
-
옹알옹알 우꺄아 5
뀨우
-
지금 삼반수 고민중인 사람인데 작년 평가원 수학 6모 1(88점), 9모...
-
오노추 2
녹황색사회 - Shout baby
-
얼버잠 0
-
ㅈㄱㄴ
-
한바퀴는 돌까요? ㅠㅠ 2024년 2023년에는 돌았는데 2022년엔 안돌았는데...
-
올해 여행은 수능끝나고 가는걸로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반수생인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8
안녕하세요 홍익대 사범대 입학예정인 학생입니다..! 수능에 아쉬움이 많이 남아서...
-
비상비상
-
지금 연세대 예비 1번인데 1,2등 나군 서울대 최초합해서 대학 거의 무조건...
-
기차지나간당 10
부지런행
-
결국 예비 42번 받았는데 3바퀴째에 추합될 가능세계 있음,.
-
예비예비예비 갑자기 최초합 ㄷㄷ
-
동덕여대 미대 최초합 했는데도 별로 안 가고 싶어하는 거 같음 근데 나였어도...
-
??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와 어렵네요...
ㄱ이 틀린 이유를 몇번을 다시봐도 모르겠다...
저는 이과지만 증가율에대해 이해가 잘되어있나봐요. 단번에 틀린거같던데..
증가율은 바로 직전에대해 분수꼴(비율)로 비교하는거라서 증가율은 감소하고있는거로 볼슈있죠!
증가 량은 일정하고요
퀴즈. 함수 y=2x의 증가율(혹은 변화율)은 일정한가요? ㅎㅎ
글쎄요 제가생각하는 증가율은 뭔가 단위로 끊어져 있어서(2018년,2019년 이런식으로..) 그 앞에꺼에 비해서 뒤에꺼가 증가한 비율로 생각해왔는데... y는2x함수는 연속함수라서 잘 모르겠네요! 뭔가 미시적으로 보면 증가율은 계속 감소하는거같아요!
증가율이 일정하려면 지수함수로 나와야할거같네요
당연히 일정한거 아닌가요? 경제 고른 문과생인데 저 위의상황이 틀린이유가 직선이 y=ax+b 형태로 나오니까 기울기가 일정한게 아닌거지 b가0이면 모든점에서 기울기가 일정하다고 생각합니다
잘 생각하셨습니다. 사실 본문에 이미 정답이 있습니다. ㅎㅎ
y=2x+1은 (1,3), (2,5), (3,7)을 지나니까 증가율이 5/3, 7/5니까 다르다고 하신거 아닌가요? y=2x는 (1,2), (2,4), (3,6)을 지나고 위 논리대로면 2, 3/2인데 도대체 뭐가 일정한가요? 애초에 칼럼에서 직선은 변화율이 일정하니까 라고 하셨으면 변화율은 기울기를 가리키는게 맞는데, 증가율(또는 변화율)이라고 쓰신건 도대체 뭐죠?ㅋㅋㅋㅋ
증가율, 감소율의 절댓값이 변화율이죠. ㅎㅎ
무슨소리세요 그럼 직선의 증가율도 일정해야죠 ㅋㅋㅋ 본인이 직선의 변화율 일정하다고 본문에 써놓으신거 아닌가요? 뭘믿고 강의를 들으라는 건지 모르겠네요
저보고 수학 공부하라는 댓글이 있어서, 수학 공부한 내용을 제시합니다. 마지막 문장만 봐도 됩니다.
--
8학년 함수는 ‘기하급수적 증가’의 의미를 이해하고 동시에 지수함수의 개념을 소개함. (중략) 증가율(growth rate)을 다루는데 지수 함수에서 위의 종이 자르기 활동에서 변화율을 의미함을 설명. 실제 상황은 아니지만 가상의 상활을 제시하여서 그 규칙성을 찾아 증가율을 규명하는 활동을 반복하게 함. 지수함수로 나타내고 그 값을 계산하는 것 보다는 규칙적인 변화율, 즉, 증가율을 찾아서 그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강조함.
_수학과 중등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
선생님, 수학 공부 하라는 건.. y=ax+b의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다고 한 위의 경제 선택한 학생에게 한 말이었어요... 선생님께 의문이 드는 점은, 분명 본문에서 '직선의 증가율은 일정하지 않지만 변화율은 일정하다'며 변화율과 증가율이 엄연히 다른 것이라는 말씀을 하셨는데 어째서 댓글엔 같다고 쓰셨나 하는 점이에요. 뜻이 여러 개다 라고 하기엔 뜻이 명확히 다르다는 점을 지적해주시려고 하신 것 아닌가요? 선생님께서 만약 y=ax+b는 증가율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율이 일정, y=ax는 증가율과 변화율이 일정하다고 하시는 것이라면, 증가율의 정의가 도대체 무엇인가요? 전년도 대비 총량의 증가율로 이해한다면 처음 적은 댓글처럼 두 함수 모두 증가율이 일정하지 않은 것 같아요.
글의 논리대로면 지수함수가 나와야할것같아욥
a^(x+1) / a^x : 일정
전년도 대비이므로 초기값인 b는 증가율과는 관련이 없어보이고요..!
y=ax+b가 기울기가 일정한게 아니라구요? 수학부터 다시하셔야될듯;
증가율이 일정하려면 지수함수
그래서 ㄱ 답이 왜 X인가요?!!? 수업에서 알려주시나요?
그럼요 :) 수업에서는 더 많은 문제를 다룹니다!
맞네요 무슨 이런 페이크가...
참고로 세로축을 로그스케일로 바꾸면 ㄱ이 옳은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 ㅎㅎ
기울기는 y변화량/x변화량이라 y변화를 고려할 때, 비율이 아니라 차를 나타내는 거라 저기서 나타내는 증가율이랑은 다른 비율이죠 ㅋㅋ
퀴즈. 함수 y=2x의 증가율(혹은 변화율)은 일정한가요? ㅎㅎ
무엇에 대한 변화율인지 언급을 안해주면 애초에 답할 수 없는 내용 아닌가요? 제시된 상황에서는 연도별 변화율을 물었으니 1년 단위의 y1 y2 y3 y4의 순차적 변화율을 관찰하는 건데,
그냥 y=2x의 증가율이라 쓰면 x변화'량'에 대한 y변화'량'의 '비율'인지 'y변화율'을 말하는 건지 표현이 모호한 것 같아요.
맞말추
저는 이 둘을 딱히 구분하지 않고 살아서 틀렸네요
d(2x) / dx = 2
a^(x+1) / a^x = 2
둘 다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구분해서 알아두면 좋은 내용인 것 같아요
평가원도 증가율이라고 띡 써놓는걸 보면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3.png)
사문 표에서는 정말 많이 물어보는 문제였죠표보다는 그래프가 좋아요... ㅎㅎ
![](https://s3.orbi.kr/data/emoticons/rabong/001.png)
앗 수능 사회문화 과목 표 문제 유형에서 자주 나온 소재라는 말이었습니다,,증가량은 같으나 증가율은 다름 ㄷ
![](https://s3.orbi.kr/data/emoticons/almeng/003.png)
증가율= Y(대)-X(소)/X(소) 곱하기 100 간단히 이렇게 알고 있는데 국어 작문에서는 다행히 증가율 개념을 엄밀히 알지 못해도 풀리는 느낌이네요 ㅋㅋ왜 틀렸는지 10초정도 어리둥절하다가 눈치챘습니다ㅋㅋㅋㅋ
???왜틀렸는지 설명해주실분
100>>200 은 x2/1
200>>300 은 x3/2
300>>400 은 x4/3
증가율의 정의가 이전것분의 다음것인가요?? 변화량이아니라
치킨 1조각 >> 치킨 2조각
증가율 200%
치킨 100조각 >> 치킨 101조각
증가율 101%
이런느낌 아닐까요
맞음
ㅇ
가격탄력성ㅋㅋ
주식 하는사람들이면 일봉 기준으로 퍼센트 다를거 짐작해서 맞출둣 ㅋㅋㅋ
사회문화에서도 이런 낚시가 많죠
그냥 틀리고 말게요
6평 17번에 나왔네요,,,,
증가율/증가량 차이알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