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역사 ACE!! 박윤석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ACE!! 박윤석입니다.
오늘은 조금 민망하게도,,, 강좌 홍보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한국사만 필요하신 친구들은 위의 부분만 잠깐 읽어봐 주시고
그 아래의 세계사 부분은 역사러들(혹은 역사러가 되실 친구들)이 봐 주셨으면 합니다.
<한국사>
이제 한국사 개정 교육과정이 수능에 반영됩니다.(현 예비고3부터 교과서가 바뀌었죠.)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설명회 영상에 업로드 되어 있으니 영상이 편한 친구들은 그걸 봐 주셔도 됩니다. ㅎㅎ
1. 4개 단원으로 개편
기존 |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
개정 | 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Ⅲ.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Ⅳ. 대한민국의 발전 |
눈치를 챈 친구들도 있겠지만,
기존에는 1~3단원이 전근대사(선사시대~조선후기), 4~6단원이 근현대사(흥선대원군~현대사)였습니다.
비율이 5:5였죠.
하지만 개정 한국사는 1단원만 전근대사, 2~4단원이 근현대사에요.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고1 때 개정 교육과정으로 한국사를 공부해 봤던 친구들은 기억하겠지만,,,
1단원 전근대사가 양이 엄청나게 많죠.(솔직히 미쳤어요.)
기존의 전근대사 3개 단원을 1개 단원으로 줄였으니 양도 1/3으로 줄었을 거라 생각하고 교과서를 폈었죠.
헐,,, 공부할 양은 거의 그대로,,, 페이지 숫자만 1개 단원으로 줄인 느낌이었습니다.
아직 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수능 한국사 시험이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 출제된 적은 없지만,
최근 11월 학평에서는 전근대사가 7문항, 근현대사가 13문항이 출제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나마 전범위도 아니고 마지막 4단원이 6.25 전쟁까지였어요.)
제 추측으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근대사가 5~6문항, 근현대사가 14~15문항이 출제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제 수업은 특이하게도, "근현대사"부터 진행합니다.
(친구들이 가장 열정이 넘칠 때가 겨울방학 초기인, 개강한 직후니까요;;;)
2. 강의 계획 : 주 1회, 3시간, 4회 완성(수요일 2시~5시) -> 1월 5일 개강
단원 및 내용 | ||
1회차 | 1/5 | 2단원 :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
2회차 | 1/12 | 3단원 :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
3회차 | 1/19 | 4단원 : 대한민국의 발전 |
4회차 | 1/26 | 1단원 :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
3. 교재
한국사의 경우엔 교재를 파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현장으로 오는 친구들에게는 당연히 제가 준비해서 나눔할(?) 생각이구요.
영상으로 수강하는 친구들에게는 메일로 발송하도록 하겠습니다.
4. 마음가짐
한국사는 50점 만점이 필요한 과목이 아니죠~~!!
일반적으로 주요 대학들은 3등급인 30점만 되어도 만점으로 반영이 됩니다.(학교별, 학과별로 다릅니다.)
하지만!!
3등급을 목표로 공부하면 신기하게도 4등급이 나와버리는 매직이;;;
그래서 제 한국사 강의는 2등급인 35점을 목표로 진행합니다.
딱 그정도만 공부합시다. ^^
<세계사>
더 말할 필요 없죠. 역사러들의 과목!! 그 이름은 세계사입니다.
(동아시아사가 선택자는 더 많기는 한데, 비율로 보면 동아시아사나 세계사나;;; ㅠㅠ)
선택자 숫자가 사탐 9개 과목 중 8등이죠.(경제를 제외하면 선택자가 가장 적은;;; 쿨럭;;;)
그 이유는,
외울 게 많다!! <- 이거죠.
맞습니다. 세계사는 외울 게 많죠.
하지만, 공부할 게 많지만 깊이는 매우 얕은 편이에요.
한번 기억해 두면, 시험 당일날 컨디션이 심각하게 나쁘지 않은 이상은,
갑자기 성적이 곤두박질 치지는 않습니다.
(깊이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항은 '거의' 없어요.)
그래서 저는, 역사 과목이 배신하지 않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1. 세계사 단원 소개
단원명 | |
1단원 | 고대 문명(4대 문명) 주제 |
2단원 |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중국사, 일본사) |
3단원 | 서아시아와 인도 지역의 역사(서아시아사, 인도사) |
4단원 | 유럽, 아메리카 지역의 역사(사실상 유럽사) |
5단원 | 제국주의와 두 차례 세계 대전(근현대사 - 지역 통합) |
6단원 | 현대 세계의 변화(세계대전 이후 - 지역 통합) |
1~4단원까지는 전근대사 단원으로, 각 지역의 역사를 공부합니다.
중국사는 중국사 내에서만, 유럽사는 유럽사 내에서만 출제가 되지요.
(종종 서아시아사와 유럽사를 통합시키기도 합니다.)
5~6단원은 근현대사 단원으로, 특정 지역이 아닌 '지역 통합' 역사라고 생각하시면 좋아요.
유럽의 제국주의 정책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이 침략을 당하고,
미국 vs 소련이라는 냉전 체제 속에 전 세계가 포함되니까요.(제3세계라는 말도 냉전이 낳은 단어죠.)
저는 전근대사 주제 중에서는 유럽사가 가장 양이 많고 어렵기 때문에,
교과서 순서대로 강의하지 않고 유럽사부터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2. 강의 계획 : 주 1회, 3시간 30분, 11회 완성(수요일 6시 30분~10시) -> 1월 5일 개강
공부 주제 | ||
1회차 | 1/5 | 1. 4대 문명 ~ 2. 고대 지중해 세계 |
2회차 | 1/12 | 3. 중세 유럽의 형성 ~ 4. 중세 유럽의 변화 ~ 5. 근세 유럽 세계(1) |
3회차 | 1/19 | 5. 근세 유럽 세계(2) ~ 6. 시민혁명(1) |
4회차 | 1/26 | 6. 시민혁명(2) ~ 7. 자유주의와 산업혁명 |
5회차 | 2/2 | 8. 춘추전국-진, 한 ~ 9. 위진남북조-수, 당(1) |
6회차 | 2/9 | 9. 위진남북조-수, 당(2) ~ 10. 송, 원 |
7회차 | 2/16 | 11. 명, 청 ~ 12. 일본사 |
8회차 | 2/23 | 13. 서아시아사 ~ 14. 인도사 |
9회차 | 3/2 | 15. 제국주의의 침략 ~ 16. 아시아 각국의 민족 운동 ~ 17. 동아시아의 민족 운동(1) |
10회차 | 3/9 | 17. 동아시아의 민족 운동(2) ~ 18. 제1차 세계대전 |
11회차 | 3/16 | 19. 제2차 세계대전 ~ 20. 냉전과 탈냉전 |
3. 교재
오르비에서 강의를 시작하는 기념(?)으로 교재비는 이번엔 생략하기로 결정했어요. ^^
현장에 오는 친구들은 제가 직접 나눠드릴 생각이고,
영상으로 수강하는 친구들은 오르비측과 협의해서 배송을 해 줄 계획입니다.
(제가 친구들의 주소를 확인할 수가 없어서,,, 오르비측에서 배송을 담당해 달라고 요청을,,, 쿨럭;;; 해주시겠죠?? ^^)
4. 마음가짐
세계사는 만점이 필요한 과목입니다. 사탐 과목의 특성상 1개만 틀려도 2등급이 될 수도 있거든요.
그 중에서도 개념 공부를 확실하게 해 두시면,
중간중간에 친구들을 괴롭히는 문항들이 출제가 되더라도 충분히 해결이 가능합니다.
(해결이 쉽지 않은 연표 문항들은 따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
"잡기술에 능한 자, 깊이 있는 자에게 발린다."
(방송에서 본 멘트인데 제가 좋아하는 말입니다.)
제가 수업 시간에 여러가지 암기용 팁을 전해드리기는 하겠지만,
그것보다는 깊이 있는 강의를 통해 확실하게 세계사를 같이 잡아봅시다!
세계사 결제링크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253/l
한국사 결제링크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254/l
수업은 재미있게, 결과는 감동있게.
재미와 감동의 한국사.
역사 ACE!! 박윤석 선생이었습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렇게 고려사이버대 진학을...
-
손들어
-
옯찐따 탈출해서 울음 그쳤어
-
서버 왜이래 11
-
까치 0
-
방법좀
-
뱃지 이쁜건 0
무뱃이 탑임 암튼 그럼
-
개춥네 진짜 1
개추움
-
그리구 예약판매 시작해서 yes24에 치면 나올 듯여!
-
외글vs경기 1
결정 일주일 넘게 못해서 물어봅니다ㅜㅜ
-
ㅈㄱㄴ
-
HTTP 500 6
오르비가 아파요
-
설뱃이 이뻐보이는구나 대학원도 뱃지 줬었지 아마...
-
?
-
학교 갈드컵 이거 말고 그냥 정보 있으신 분들, 점공 제공 가능하거나 올렸을 때...
-
탑툰 끊어야지 10
에휴이
-
학과 관련해서 쪽지로 질문 드리고싶습니다. 바쁘신 시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맘마줘
-
날 봐줘
-
아줌마가 어때서 3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
유창준 전 방첩국장 "간첩법 개정 안돼 중국 간첩 못잡아" [뉴스캐비닛] 1
- 방송: 매일신문 유튜브 〈이동재의 뉴스캐비닛〉 (평일 07:30~08:30) -...
-
4살차이
-
나만 보는 법 모르나
-
대학가면 내가 최고령자야 대학원생 누나를 꼬셔야
-
이거절대못막습니다
-
어떤 대학이 조금 더 취업이나 인식 이런게 더 좋을까요? 그냥 조금 더 나은 곳이...
-
딥피드임? 추천을 많이 보는 게시글임? 도대체 어디얏
-
현역이고 목표 1등급인데 6모 이후로 개념 기출하면 너무 늦나요.?
-
실시간 오뿌이 ㅈ됫다 12
민증사진찍으러 가다가 지하철 역에서 넘어져서 119불러서 병원갔다…ㅋㅋㅋ 의사샘이...
-
전 아래 5 위 7
-
키만큰남자 연애 잘되나요 얼굴은 볼거없음
-
노잼이야 ㅇㅅㅇ
-
실시간 동해 5
이런게있네
-
돈 돈 돈 0
돈미새가 되어가
-
진로가 화공이라 화학이 중요한데 제가 건드리면 오히려망칠것같아서… 댓글 남겨주시면...
-
기술행정병 0
커트라인이 작년보다 8점이상 오르는일은 없다고봐야겠죠? 이번에 떨어지면 보병으로 가야하는데 ㅋㅋ
-
카이스트 후보 0
추합후보자인데 504.13임 안 될 확률이 높겠지?ㅠ
-
큐브 보통 2
하루 한과목당 몇개들어옴??
-
사문기출풀때 0
개념부터 다 풀어놓고 나중에 도표 몰아서 하는게 나을까요?
-
대학교에 휴게실 3
누워있을만한 곳 허리디스크 심해서 잠깐 누워있을만한 곳 있음?
-
반수
-
수족관 가서 봤는데 ㅈㄴ 놀랐음
-
저번에 시대랑 강대 두각 중에 고민한다는 글 썼던 사람인데요, 고민하다가 강대로...
-
공부 질문만 볼수있나? ㅋㅋ
-
다시 태어난다면 12
남자 vs 여자
-
개강전에 다이아 갈 수 있을거 같은데 근데 오래 앉아 겜하는 것도 힘들다 이제
-
미용실왓다 1
공간이 뭔가 올때마다 편안함
-
수시
-
여자로 태어날걸 5
연애를 할 수 잇엇을텐데…
-
인하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인하대25][캠퍼스이용혜택]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인하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인하대생, 인하대...
쌤파이팅♥♥
반갑습니다! 19시즌 한국사 만점 인사드립니다.
혹시 이투스 박통선생님이세요?
아니요 이투스박통샘은 은퇴..또다른이투스 역사샘입니다
아아 몰랐네요 머쓱
전근대사 양은 줄었으나 근현대사 파트가 너무 많아서 교과서 페이지가 그대로다.. 이 말씀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