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과잠 [493973] · MS 2014 · 쪽지

2014-07-16 21:05:15
조회수 1,786

7월 16일 생활과 윤리 자작문제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4700851


아 수정한다는게 글을 지워버려서 ㅠㅠ...
풀어보시고 오르비식(12345답54321)으로 답 달아주세요

해설은 11시전후로 올릴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이리힘들조 · 440210 · 14/07/16 21:21

    12345212345
    매일 한 문제씩 만드시나봐요 대단ㅎ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2 · MS 2014

    네... 다른 건 둘째치고 사료 따 오기가 힘들어요 ㅠㅠ
    정답입니다 ㅎ

  • 15연대갈래 · 492445 · 14/07/16 21:34 · MS 2014

    12345454321

    ㅜㅜ아닌가요..ㅠㅠ 윤사문제같당ㅎㅎ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3 · MS 2014

    틀리셨어요... 음 윤사틱하긴 하죠 약간 ㅎ
    해설 올렸으니 보세요 ㅎ

  • 15연대갈래 · 492445 · 14/07/16 23:54 · MS 2014

    해설 봤어요~~ 근데 궁금한 게 있어서요ㅠㅠ!

    독립적인 존재가 없다는 걸 동양의 유기적 자연관..뭐 이런 걸로 해석할 수는 없는 건가요?ㅠㅠ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58 · MS 2014

    음... 독립적 존재... 이 선지는 불교를 겨냥해서 만든 선지이긴한데요...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모든 존재라 했으니... 자연으로만 볼 수는 없지 않을까요... 음 다음부터는 깔끔하게 오해없도록 하겠습니다.. 내일 윤리선생님께 질문해보고 다시 확답을 드릴게요..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점 죄송합니다.

  • 15연대갈래 · 492445 · 14/07/17 07:44 · MS 2014

    아 아니에요ㅠㅠ죄송하다뇨!

    덕분에 공부하고 가는 것 같아요ㅎㅎ
    다음에 또 문제 올려주세요!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7 11:33 · MS 2014

    4번 선지에 관한 해설입니다.
    유교와 불교는 기본적으로 공동체 주의라 맞습니다.
    하지만 도가는 개인주의 성향이 짙죠. 자연관은 셋다 유기체적 자연관입니다만 4번 선지는 자연이 아닌 모든 존재... 이니 도가에서 어긋나므로 답이 아닙니다.

  • 서울대자전_연대UD · 402241 · 14/07/16 21:42 · MS 2012

    12345412345

  • 서울대자전_연대UD · 402241 · 14/07/16 21:51 · MS 2012

    12345154321 순자식 설명
    12345212345 도가 제외되는 설명
    12345354321 서양 근대적 자연관
    12345512345 도가가 제외되는 설명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5 · MS 2014

    거의 맞추셨는데..오답입니다... 해설참조해주세요 ㅎ
    아깝네요 ...

  • rightme · 503613 · 14/07/16 23:1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rightme · 503613 · 14/07/16 21:48 · MS 2014

    12345512345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6 · MS 2014

    오답입니다.
    해설올렸으니 참조해주세요 ㅎ

  • 밤주니 · 455678 · 14/07/16 22:49 · MS 2013

    12345554321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3 · MS 2014

    오답입니다...
    해설올렸으니 참고해주세요 ^^

  • 밤주니 · 455678 · 14/07/16 22:52 · MS 2013

    자작문제 잘보고있어요ㅎㅎ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3 · MS 2014

    ㅎㅎ 감사합니다.. 부족합니다만... 열심히 고퀄...에 수렴하는 문제를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01 · MS 2014

    아... 다 썼는데 모르고 멍청하게 뒤로가기를 눌러서.. ㅜㅠ..
    pc로 다시 써서 올릴게요.. ㅠ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11 · MS 2014

    오늘도 풀어주신 여러분들깨 감사드리며 (꾸벅)

    정답 : 2번

    <해설>
    (갑)사상은 불교입니다. 제시문은 연기설이죠.
    (을)사상은 유학입니다. 제시문에서 사단(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 누구에게나 있다고 하였죠. 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병)사상은 도가입니다. 첫 문장 보고 불교라 생각하신 분들 조심하셔야합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인간은 불성을 가졌다고 하였고 본성은 청정하다고 봤습니다.
    유학은 기본적으로 성선설을 주장하죠 (순자 제외) 본성은 순선한 본성을 가졌다고 봤습니다.
    도가는 인간은 본래 무지, 무욕한 존재인데 인위때문에 그 본성을 잃는다고 보았습니다.

    세 사상은 모두 고난 본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수양해서 그 본성을 유지해야한다고 했죠.

    오답)
    1번 순자의 화성기위(化性起爲)입니다.
    3번 근대 서구적 자연관에 대한 설명입니다.
    4번 이것은 불교에 대한 설명입니다.
    5번 선한 본성을 가졌다고 본 사상은 유학입니다.

    음 나름 꼰다고 꼬아봤는데... 윤사하시는 분들에겐 아무것도 아닐듯...
    미숙하지만 계속 풀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번 6평이 보여줬듯이 유불도를 좀 깊게 낼 수도 있기에... 저도 한번 그에 대비해 깊게 내 봤습니다.
    음... 의문점이나 개선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쪽지나 댓글 해주세요 적극적으로 반영하겠습니다^^

  • rightme · 503613 · 14/07/16 23:30 · MS 2014

    음 '선하다'와 '긍정'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궁금하게 있는데요ㅎ 진인은 자연의 소박한 그리고 어린아이와 같은 순박함을 가진 사람이라고 했는데 이거는 어디까지나 이상적 인간상에만 머무는 건가요? 모든인간은 해당되지않고요??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35 · MS 2014

    음 선하다는 건 유학에서 보는 인간의 본성이죠. 선 악은 유학에서 쓰는 표현입니다. 주의해야해요.
    특히 도가는 선 악 구분을 싫어했어요.
    말씀하신대로 도가의 본성은 자연의 소박함과 어린아이의 순박함을 가졌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선한 본성은 아닌거죠
    긍정적으로 봤다는 거는 그 본성을 인정했고 좋으니까 드러내야한다 이런 뉘앙스인거죠.
    해결이 되셨나요? ㅎ

  • rightme · 503613 · 14/07/17 00:16 · MS 2014

    우왕!! 완전 이해가 잘되요ㅎ 생윤진짜 열공하셨나봐요^^ 저도 빨리 그 경지에 도달하겠습니다!!♡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7 00:19 · MS 2014

    열심히 하세요 ㅎㅎ 양도 그렇게 많지 않은 과목이라 조금만 신경써서 하시면 금방 오를거에요 ㅎㅎ

  • rightme · 503613 · 14/07/16 23:32 · MS 2014

    문제 좋아요♡

  • 서울대과잠 · 493973 · 14/07/16 23:35 · MS 2014

    고마워요 ㅎ♥♥

  • rightme · 503613 · 14/07/17 00:54 · MS 2014

    앗 혹시 여기서 제 댓글을 읽으신 분들은 참고하세용^^ 생윤 수특 답지 7쪽의3번을 보니 '노자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만물 과 마찬가지로 본래 소박하고 순수한 자연의 덕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자기 본성에 따르기 위해서는 무위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 살아야 한다' 라고 하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