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전공자로서 이번 초전도체에 대한 생각
랜만에 전공 분야로 찾아뵙습니다
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물리라는 게 너무 광범위해서
나름 요즘 논문도 많이 보고 학부 이상의 양자/광학 공부도 하는 중인데
이 논문을 이해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전공 용어를 좀 배제하고
그래도 생각하는 바에 대해 말해볼게요
1. 뭐가 됐든, 이 논문은 과학도로서 뿌듯하다
이 연구가 정말 진실이라면 노벨상 따위는 받아도 좋고 안 받아도 좋고입니다
인류의 미래를 완전히 바꾸겠죠
AI의 이론적 속도를 가볍게 따라잡을 것이며
환경문제까지 해결해 생태계는 더욱 안정화될 겁니다
이런 주제는 누구나 중요하단 걸 알아요
그런데 같은 분야를 연구해도, 중요한 주제를 연구하지 않고
취업과 산업에만 도움되는, 그런 연구 주제에 안주하는 연구실이 태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꾸준히 이런 시도가 있는 게 좋습니다
우리 생각보다, 중요한 주제를 연구하는 곳은 잘 없습니다
2. 하지만 이것이 거짓, 조작됐다면
1번의 뿌듯함 따위는 우리 감정의 한 순간으로 자리잡고
국제 사회에서 다시 한 번 우리 과학계의 위상이 떨어질 것입니다
이 논문의 형식적인 면만 보아도 의아한 점들이 보입니다
(유튜버 SOD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했기에 상당부분 많이 겹칠 겁니다)
3. 왜 arxiv에 냈는가?
arxiv가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나무위키를 긁어서 요약해 봤습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무료 논문저장 사이트. 물리학, 수학, 컴퓨터공학, 통계학 등에 관한 통상적인 출판전 논문(preprint)또는 텍스트 등을 무료로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가능한 공간이다. 또한 저자의 성향에 따라 출판 후 논문역시 업로드된다."
따라서 논문의 퀄리티가 잘 보장되지 않습니다.
물론 푸엥카레 추측을 증명한 논문이 학회지가 아닌 이 사이트에 올라오는 등 예외는 있죠
왜 이런 주제가 Nature, Science, 하다못해 PRL이나 IEEE, materials, apl에도 올라오지 않았을까요?
왜 그런 시도를 하지 않았을까요?
이에 대한 학자들의 썰들은 분분합니다
'일단 데이터는 나왔는데 왜 그런지 몰라서 여러분들이 한 번 검증해주세요'
'남이 가로챌까 무섭기도 하고 데이터가 나왔으니 흥분돼서 일단 올려야겠어요'
머 이게 arxiv의 존재 이유기도 해서 저 의견들 자체는 상당히 개연적이나,
우리가 의아한 점은 그 논문의 주제가 '상온 초전도체'라는 것에 있습니다
4. funding, 연구소, 저자
논문 저자가 세 명인 점과, 연구소의 주소를 로드뷰 해보면 일반 가정집 지하 1층이라는 점이 좀 의아합니다.
이런 연구 주제라면 마땅히 정부 기관, 기업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대학/기업 연구실에서 스케일 있게 연구될 것입니다.
동양인테리어가 국내 초전도체의 메카일 수도 있겠네요
죄송합니다.
어쨌든 이런 주제가 이렇게 소규모로 은밀하고 조용하게 투고될 정도의 논문인가하는 게 좀 많이 의아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는데, 지금 연구실 사이트는 트래픽 문제 때문에 열람을 못하고 나무위키가 그새 발빠르게 움직였더라고요
1999년부터 아주 비밀리에 연구를 진행한 듯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곳도 있다는 점이 신기하긴 했는데
제가 속한 연구실도 뭐 다른 게 있나 싶긴 해서 일단 넘어갑시다
*논문의 부록같은 걸 보면 다양한 연구실에서 시료의 제작부터 분석까지 실행하긴 했네요.
논문에선 아주 compact하게 소속 기관과 저자가 들어갑니다
초전도체라 잘 모르긴 하지만, 이쪽 분야는 laser를 시료에 쏘아서 전압 등의 물리량 변화를 통해
물질의 구조와 열전도 등의 특성을 보는 실험 방법이 기본이 됩니다
교수가 직접 실험을 했을리는 없고
이런 연구는 석박 학생들이 실험실에서 많이 갈려나가야 합니다
그런데 논문의 저자란엔 이들의 흔적이 없습니다
(사진의 주인공은 초전도체 분야에서 많은 issue를 불러일으킨 분이나, 지금의 맥락에는 별 상관 없습니다)
제 분야도 아닌데 어떻게 아냐고요?
위 사진만 봐도 ptsd 옵니다 더 묻지 마세요
뭐 그렇게 딴지 걸만 한 건 아니고 그냥 읭? 하다는 걸로 넘어갑시다.
저자에 대한 내용도 그렇고요. 일단 arxiv에 올린 거니까요.
진짜 문제가 될 소지였다면 애초에 그렇게 쓰지 않았겠죠.
5. 논문의 본문에 대해서
요즘 좀 공부 열심히 한다고 설치는 학부생 따리가 평가할 건 전혀 아닙니다만, 데이터가 너무 부족합니다.
단적으로, 논문의 본문에 나온 그래프들은 4묶음에 불과한데,
단순히 좀 특이한 금속의 phonon 신호를 측정하는 논문만 보더라도 이 정도는 아니고
심지어 어떤 그래프는 확대도 제대로 안 해서 비율도 틀어져 있습니다.
아예 새로운 금속을 직접 만든 것 같은데 그 금속에 대한 기본 정보들도 부족합니다
그림과 그래프들을 만약 지금 제 교수님께 제가 만들었다고 가져가면 엄청 까였을 것 같습니다
그 분들의 자질을 논하는 게 아니라, 급하게 낸 티가 너무 보입니다.
제가 엄청 꼼꼼히 읽은 건 아니라서 놓친 부분도 있을 수 있겠는데,
초전도체의 내부 자기장에 대한 내용이 수식으로 기술 돼있지 않고
물질 내부의 전자밀도, 열용랑 정도만 수식으로 보여줍니다.
조금 의아합니다.
이는 연구자들도 아직은 현상만 관측했을 뿐 잘 모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논문에서 계속 quantum well로 뭔가 설명을 하려는데 와닿는 건 잘 없네요.
데이터로서 이렇게 보여진다라고는 말하지만 제가 궁금한 건 수식적으로, 이론적으로 어떻게 뒷받침되는가입니다.
이런 연구는 그분들이 새롭게 만든 물질의 분석에 대한 논문, 이론 논문, 실험 구현 논문
적어도 세 개는 나올 텐데 그 주제의 깊이와 스케일에 비해 여러모로 아쉬웠습니다.
관련 내용을 찾아보기 위해 저자가 이전에 투고한 논문을 살펴보려했지만 아래와 같네요...
연구자들끼리 흔히 쓰는 편법(?)을 통해 다운 받으려 해도 안 되는 걸 보니 좀 아쉽습니다
6. 정말 진짜라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당장 응용될 수 있는 분야는 너무 많습니다
Quantum computation(QC)에서 입자의 coherence time을 위해 초전도체가 사용되고 있고
초전도체가 초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 그 상용화의 걸림돌이었는데,
이 기술이 적용된다면 획기적으로 상용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QC는 애초에 너무 복잡하고 민감한 기술이어서 B2C 사업이 되기엔 너무 속단입니다
애초에 저온에서 더 큰 안정성을 보이는 성질이기에, 당장 액체질소(LN)에의 의존성이 사라진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최근 LN의 치솟고 있는 가격 또한 걸림돌이 될 것입니다
(여담이지만, 지금의 modern computer과 달리 QC는 다양한 방식으로 용도에 맞게 구현될 거라 생각하는 바입니다. 7-8년 봅니다.)
반도체 시료에도 이 물질층을 첨가해 그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겠으나,
양산은 아예 다른 얘기죠.
지금도 반도체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 해 전 세계의 Foundry 회사들은 애를 먹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체감할 정도로 이것이 접목되려면 10년은 걸릴 겁니다
아예 새로운 산업군이 탄생하는 거니까요
물론, 전제는 해당 논문이 정말 진실이라는 데 있겠죠
이외에도 핵융합, 케이블, 입자가속기, mri 등 다양한 데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우주산업과 행성 탐사는 미친듯한 연구 가속을 받습니다.
AI는 무슨, 초전도체가 4차 산업혁명을 건너 뛴 채 5차 산업혁명을 가져옵니다.
* 마치며
저는 아직도 공부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부족한 점이 많아 이 글을 쓰면서도 공부했고
아직도 공부할 게 산더미입니다
너무도 빈약한 정보의 글을 지금까지 봐주셨다면 정말 감사합니다
어찌됐건, 학자로서 연구자로서 중요한 개척 주제에 시간을 쏟는다는 것은 정말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를 비롯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더 도전정신을 갖고 연구를 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진위여부를 떠나 1999년부터 이 주제에 몰입하며 연구했다는 사실에 상당한 경외감을 표합니다.
아래는 교수님이 인터뷰에서 밝힌 입장인데, 일단 정말 진중하신 분이라는 인상을 받네요.
어쩌면 이 논문이 학계에 인정이 되어
올해나 내년 수능 독서 지문에 나올지도 모르겠다는 희망회로를 돌리며
글을 마쳐봅니다 ㅎㅎ
0 XDK (+1,500)
-
1,000
-
500
-
뱃지?눈알? 필요없어
-
질문받아요 15
심심해요
-
。◕‿◕。
-
건대 자전 추합 0
건대 다군 공대자전이 올해 신설인데 작년 재작년 다른 건대 다군 학과들 보니까...
-
KT 직원 vs 서울대병원 의료기사(물리치료 임상병리 등) 1
어디가 더 좋냐
-
냥공 1
한양대 공대 전망, 이미지, 입결, 아웃풋, 교수진 종합적으로 어떠한가요? 한양대...
-
오늘 다시금 깨닫는다 ㄷㄷ
-
동일 명의로 재르비하면 안주나
-
한 540화쯤까지 보고 하차했는데 올해 완결이 난다고 하네요
-
[한대산 영어 연구소] 2026 InDePTh 실전 모의고사 (총 3회차) 검토진을 모집합니다! 2
안녕하십니까. 한대산 영어 연구소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
덕코를줄사람어디없나
-
내일 달고다녀야지 히히
-
교류반으로 만나겠군요 3월에 안암에서 보는걸로
-
105일차다
-
경북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경북대 25] [기숙사별 장단점부터 생활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경북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경북대학생, 경북대...
-
고통계 교과 3
713점대로 합격이면 빵인거죠?
-
건대 공과계열 자전 예비 몇번까지 돌 것 같나요??
-
긴장된다 7
내가 붙을 수 있을까
-
설의 합격 기념 질받 20
아무거나 ㄱㄱ
-
스카이 못 가는 컴플렉스로 7수까지 조지는 건 너무 심한가? 하아. .
-
'셔ᄫᅳᆯ>셔울>서울'의 변화를 겪은 단어인데, '서라벌(徐羅伐)'에서 변한 말로...
-
아니 이거 왜케 웃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현역 정시 샤대 12
ㅎㅎ
-
현강 분위기도 진짜 좋아보이네요
-
우와 서울대 5
왤케 많아?? 나두 가고싶다..
-
다 봤으면 이제 가셈 저날 포카 뜰때까지 존버중
-
?-?
-
근데 설대한테 cc기처맞으면 수능 얼마나 더 맞아야함? 3
국어 2문제?
-
배고파
-
시발 이게 뭐임?! 10
WTF?? 상태 개좋음
-
홍대 건축 예비 2
홍대 건축 30번인데요 될까요…보통 60번대 이상으로 돌긴 하던데 올해 뭐 많이...
-
오늘은 국내선을 타고 후쿠오카로 넘어와서 맛있는 나베도 먹고 캐널시티에서 개쩌는...
-
혀녀기 와써여 9
뀨?
-
물 조금넣어서 짜게 먹는게좋아
-
나는 이 이야기를 매우 싫어한다
-
최초합격 발표 나온 기준으로 되나요? 날짜보고 추합인지 최초합인지 알수 있나 궁금합니다
-
여기 있는 거 세 개 다 사야 되나요? 첫 번째 거 주교재는 당연히 사야겠지만 두세...
-
25로 탈출했어야 했는데..
-
시대인재 기출 5
원래 마더텅으로 하고있었는데 이걸로 갈아타야함? 마더텅 아직 많이 안풀었는데 하도...
-
이쯤에서 질받 54
선넘질ㄱㄴ.
-
설대 지원하는 애들은 만점 기본으로 깔고 갈 거 같은데
-
편차가 어느정도인가요 cc가 수능에서 몇 문제 더 맞혀야 bb랑 삐까뜸
-
서울대 질받 14
합격하신 분들 다들 축하드리고 추합 기다리는 분들도 합격 기원합니다
-
심장이빨리뜀 -> 뇌는 그걸 설렌다고 착각함 -> ㅈㄴ연애하고 싶어짐 -> 갑자기...
-
정모 한번 해야지..
-
범준쌤광클 1
중복 먹기 가능? 오늘 수2 먹었는뎀 내일 먹을수 있나
-
?
-
설뱃 입갤 4
ㅋ ㅑ
정말 super brief review라는 말이 적당한 글입니다!
자세한 이론적인 의문과 궁금증 등은 아직 논문을 덜 읽기도 했고 여기서 할 얘기는 아닌 것 같아 좀 생략했습니다. 기회가 되면 더 설명해볼게용
그리고 글 쓰다가 느낀 건데 나무위키가 더 설명 잘했습니다
나무위키 먼저 봤으면 이 글 안 썼을 듯
물리전공자셧나요? 그런데 어떻게 국어를 그렇게 잘하시죠
국어는 바닥에서 끌어올렸기에..
개인적으로는 3명 6명 나눠서 등재한게 노벨상을 노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상온 초전도체라는게 정말 그들 말대로 있는거면 좋을텐데....... 사실상 지금은 대부분의 여론이 긍정적이지 않고, 국제적 망신까지 갈 수도 있는 상황이라 마음이 편하지는 않네요. 일부에서는 반자성체의 성질과 초전도체의 성질을 헷갈렸기 때문에 이런 논문을 낸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습니다만 정말 헷갈린 거라면....하하
기사들 보면 내분이 일어나서 동의 없이 rough한 논문이 그대로 나왔다라고 하는 말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노벨상을 노렸다라는 건 잘 모르겠고..
근데 설마 반자성체와 초전도체 성질을 헷갈렸을까.. 제가 요즘 보는 분야가 고체물리와 양자광학이기에 그 성질들에 대해서 학부 이상으로는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설마 헷갈렸겠어요 ㅎㅎㅎ
제 바람은 그냥 실험 데이터가 다른 연구실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정도만 돼도.. 진짜.. 대박이죠!!
마지막에 하신 말씀 정말 동의합니다....! 이론을 조금이라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 진행되면 좋을텐데요... 상온 초전도체가 진짜 있는거라면 상상도 못할 일들이 많이 일어날테니 기대를 하지 않을 수가 없네요 ㅎㅎ
일개 수험생으로서 이 연구가 진실이 되었건 거짓으로 판명나게 되건 어떠한 파장이 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세계의 과학적 진보를 위한 눈에띄는 성과를 위해 우리나라도 노력해 왔다는걸 볼 수 있어 괜히 기분이 좋네요
케인 뮌헨행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조아
The First를 건방지게 제목에 언급한거부터 마음에 안 듦...
읽고도 뭔말인지 모르겠으면 개추 ㅋㅋ
벅벅벅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