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에서 과거 입결의 활용
정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은 각 업체에서 제공하는 예측 서비스입니다.
그 예측 서비스라는 것 또한 과거의 입결이 바탕이 되어서 제공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 다음으로 많이 활용되는 것이 과거의 입결입니다.
여기서는 과거의 입결 활용에 대한 글을 쓰겠습니다.
여러 곳에서 과거의 입결이 제공되고
누백(누적백분위)로 제공되기도 하고
대학에서 공개하는 평백(평균백분위)으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평백은 3월에서 9월 정도까지 큰 그림의 라인을 잡을 때는 조금 필요성이 있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진학할 학교를 선택하고 유리한 학과를 잡을 때 평백은 정시에서 의미가 많이 없어집니다.
올해 유독 여러 곳에서 입결을 발표할 때 그 차이가 너무 많이 나거나
심지어는 누백을 이야기 할 때도 기준을 말하지 않고 발표하는 곳도 생겨 납니다.
누백에서 기준은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같은 누백이라도 기준에 따라 등수가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준을 1만명으로 잡은 a업체와 1.2만명으로 잡은 b업체의 누백은 같은 1%라도
위에서부터 줄을 세우면 100등과 120등이라는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a업체의 누백은 a업체에서 말 할 때만 필요하지
b업체의 누백으로 a업체의 입결에 맞춰보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누백을 잘 모르면
누백에 관한 글이 오르비에도 많이 있고 저의 과거 글에도 있으니 한번 읽어 보시면 도움 될 겁니다.
공개적으로 최종 컷을 발표 안하는 대학이 대부분입니다.
현재 돌아다는 최종 컷들은 거의 추정치가 대부분이고
올해의 경우는 돌아다는 최종 컷 차이가 업체마다 크게 납니다.
일단 모든 대학이 70%를 발표했으니 거기에는 이견이 생길 수 없습니다.
그 70%를 가지고 100%를 어떻게 볼까 생각해 보는 것이 입시에서 중요할 수 있습니다.
명지대의 경우 최종 컷도 같이 발표하는 몇 안되는 대학 중에 하나 입니다.
대략적인 경우 70%와 100%컷은 순서에서 비슷한 꼬리를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컴공이나 경영대학처럼 꼬리가 길어져서 최종 입결은 70% 입결 순서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비선호과 들은 입결이 낮은 대신 꼬리가 길어지지 않는 과들이 많고
선호과들 중에 간혹 충원이 많이 돌아서 입결이 낮아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고 그런 과들이 생길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입결을 보는 또 다른 방법은 선호도 위치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냐를 중점으로 보면 됩니다.
시중에 돌아다는 입결표는 남들이 보는 제일 많이 보는 표를 보는 것이 입시에서는 중요합니다.
그 입결표가 틀리냐 맞냐의 문제가 아니라 남들이 그 표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최종 컷과 너무 차이가 큰 대학들도 있는데
현재 입결이 확실한가 보다는 조작을 했든, 진짜로 그렇든 남들이 그 표를 믿으면
나도 남들이 그 것을 믿고 있다고 생각해야 입시의 출발을 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감사합니다
아!!좋네요^^
실물 한강의흐름입니다
올해도 잘 부탁드려야될텐데..ㅜㅜ
불수능일때 표점상승으로 인해 입결컷(환산점수)도 상승하는건가요?ㄴㅈ가 작년 컷보다 높게 잡는것같아서요..
네 표점 인플레 때문에 더 높게 잡힘
표점으로 하는 대학은 작년 학교별 점수가 무의미 해집니다.상위권 대학일수록 그렇고요.국수가 다 표점이 오르면 환산점수도 당연히 오릅니다.
작년 한강의흐름님 글 열심히 읽어보고 표본조사로 두칸짜리 예비 57에서 예비3 으로 최종 마감했습니다. 정말 아쉬웠는데 그래도 많이 배웠습니다 올해도 열심히 해볼게요
잘하시라 믿습니다.올해 성공하세요
작년에 낙지 1칸이었는데 설명회 듣고 분석하고 넣은 결과 최초합 했어요ㅎㅎ 아쉬워 반수 도전해서 이번 설명회도 들으려고 합니다.!!!
1칸 붙었는데
뭐가 아쉬우세요?
반수해서 1칸붙은대학 못가시면 어쩌실려고..
나도 1칸은 잘못하는데 ㅎㅎ.올해 잘되길 바랍니다.
작년에 망한 시험이라 아쉬워 도전하는 겁니다.
올해는 꼭 원하는 대학갑시다
감사합니다
마당쇠님 는 감사.첫째는 원하는 전공할수있겠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