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루의하루 [1261820]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4-01-23 13:00:40
조회수 2,190

[일지] 발문을 정확히 보는 것의 중요성 (우언 42번에 관한 질문 답변)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66793450

으아아 답변 쓰다보니까 너무 길어지다보니 글자 수 제한이 걸려서 글로 쓸게요!! 질문하신 분 꼭 봐주세요!!

혹시 같이 따라오고 싶으신 분들은 21학년도 9모 42번을 펴주시면 됩니다!


질문자 님의 정확한 신상은 밝히지 않겠지만 국어 관련된 칼럼도 쓰시고 평소에 국어를 굉장히 잘하시는 분 같습니다. 그런데 쪽지로 갑자기 저한테 이 문제 3번 선지가 맞다는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줄 수 있냐고 여쭤보셔서 쓰게 된 글입니다. 괜히 쪽지가 오면 무서워서 심장이 두근대요.  질문자 님이 궁금하신 내용은 3번 선지의 화자와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 도대체 어디에서 비교되는지, 어딜봐서 새로운 세계의 의미를 파악하신 건지를 한참동안 고민하셔도 억지 끼워맞추기는 가능해도 확신이 안 서신다고 했습니다. 


그럼 저랑 독해하러 한 번 가볼까요?



우선 (다)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을 읽어보겠습니다.


1문단. 생활 공간 (산림 <-> 시정)에서 추구하는 가치 (명리 <-> 은거)에 따른 사람들의 부끄러움 그리고 즐거움의 대소를 묘사하였습니다.


2문단. 그러나 정도의 차이와는 상관 없이 화자에겐 즐거움은 즐거움이고 부끄러움은 부끄러움입니다. 다만 세상 사람들을 보니 큰 부끄러움(산림 + 명리)을 가진 사람을 절반, 작은 부끄러움(시정 + 명리)을 가진 사람은 대부분, 큰 즐거움(산림 + 은거)을 가진 사람은 백에 서넛, 작은 즐거움(시정 + 은거)를 가진 사람은 백의 하나 있거나 전부 없다고 합니다.


3문단. 시정에서 은거하는 화자는 작은 즐거움을 느끼는 자이고 이런 자신의 삶에 만족감을 느낍니다.


(다)에 대한 3번 선지가 맞는 이유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물어보셔서 거기에 대한 해설만 하겠습니다. 




우선 질문자 님께서는 3문단을 근거로 붙이는 걸 원하지 않으시는 거 같아서 없다고 생각하고 적겠습니다. 그렇게 해도 1, 2문단에서 답을 다 찾을 수 있습니다. 우선 1번은 너무나도 명확합니다. 1문단에서 상대적 기준에 따라 부끄러움과 즐거움의 정도를 나눴습니다. 


그렇다면 2번 3번이 관건일 것 같은데 이에 관해선 여러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 정석 풀이 : 우선 발문을 먼저 확인하시면 ’a를 바탕으로‘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a는 내면과 외부세계의 관계를 통해 시를 파악하는 내용입니다. 즉 세상 사람들이라는 말은 외부 세계, 자신의 가치관은 내면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화자 자신의 생각은 즐거움과 부끄러움에는 정도가 없다는 것이지만 외부 세계는 그렇게 생각하진 않는 모양입니다. 외부 세계는 처소, 가치에 따라 크고 작음을 나눈다고 했습나다. 화자는 그런 기준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봅니다. 화자: 작은 즐거움의 가치 = 큰 즐거움의 가치, 세상의 상황: 작은 즐거움을 가진 사람의 수 < 큰 즐거움을 가진 사람의 수 화자는 이를 종합해 보고 작은 즐거움이 훨씬 가지기 힘드므로 참으로 높다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런 것입니다. 보름달빵과 포켓몬빵이 둘 다 5천원이라고 하더라도 포켓몬빵은 훨씬 희귀하기에 더 좋은 것이라 생각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는 화자의 생각과 외부 세계를 비교, 결합해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이라는 표현이 거슬린다면 (가)를 통해 완벽해결이 가능합니다. 찬찬히 읽어보시면 어떤 범주에서도 전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a 


1. 문법적 분석 : 화자는 2문단 시작에서, 자신에겐 크던 작던 즐거움은 즐거움이고 부끄러움은 부끄러움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즉 1문단의 내용인 상대적 기준으로 즐거움과 부끄러움의 대소를 비교하는 것과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문단에서 화자가 ~이다 같은 단정적 어조를 사용한 걸 근거로 하여 1문단의 내용은 보통의 생각 즉,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라고도 파악할 수 있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자는 이러한 통념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하여 자신에게는 모든 즐거움은 다 같은 즐거움이니, 크던 작던 결과가 같으므로 누리는 사람이 적은 ‘작은 즐거움’이 제일 귀한 거구나 라는 인식을 내립니다. 이는 자신의 가치관을 근거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2. 맥락적 분석 : 1문단을 보시면 ‘큰 즐거움’과 ‘작은 즐거움’이 나옵니다. 보통의 사람이라면 ‘큰 즐거움’을 추구할 것이라는 걸 우리는 삶의 경험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화자는 ‘큰 즐거움’을 추구하는게 올바르다는 세상 사람들의 생각을 자신만의 가치관인 ‘즐거움은 모두 같은 정도이다.’ 를 통하여 큰 즐거움을 추구하던 작은 즐거움을 추구하던 같은 결과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작은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이 훨씬 적으니, 그게 더 귀한 것이다. 라는 기존의 인식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3. 논리적 분석 : (다)의 글에선 ‘작은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이 가장 적다는 것을 근거로 작은 즐거움이 제일 좋다는 새로운 결론을 도출해내었습니다. (다)의 글 1문단과 2문단은 같은 대상인 즐거움과 부끄러움에 대해 질적 범주 내에서 유무, 대소(크다, 작다와 있다, 없다)의 서로 다른 결론을 내고 있으므로 비교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문단과 2문단은 서로 다른 말을 하는 것일텐데, 발문에 a를 바탕으로 라고 하였으므로 우리가 고려할 건 객체와 객체의 관계가 아닌, 화자와 외부세계의 관계만 고려하면 되므로 1문단은 외부세계, 2문단은 화자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질문자 님께서는 정말 정확한 논리적인 이해가 필요하셨던 걸 보니, 평소에도 국어를 잘하시던 분 같은데 발문을 체크하시지 못해서 비교, 새로운 같은 단어에 너무 집중하면서 다른 걸 못 보게 된 게 3번에서 갈피를 못 잡으신 이유 같습니다!  여기서 하나의 교훈이 있다고 하면 ‘아무리 독해를 잘해도 발문은 꼭 확인하자’ 입니다!!


이처럼 문학도 모든 발문이 논리적으로 규명 가능합니다. 그걸 꼭 해야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지만 공부할 땐 정확한 게 좋잖아요! 감으로 풀다간 성적도 감각적일 수 있답니다 ㅎ.ㅎ


짧지만 오늘 글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감사해요!!

0 XDK (+1,000)

  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