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용 [1227239] · MS 2023 · 쪽지

2024-05-22 21:27:22
조회수 1,124

더프지구 16번 이해 시켜줄 사람….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68150281

그 우주론 문제인데, (시험지를 버려서 캡쳐를 못햇음슈 ㅈㅅ)


ㄱ번선지가 잘 납득이 안감….


일단 1번으로, 그림에서 지구가 왜 중심에 있는지 잘 모르겠고, 




2번으로, 빅뱅이론에서는 우주는 광속으로 등속팽창했으니, 원으로 나타내진 것의 지름이 138억광년으로 볼 수 있는 건가? 


근데 해설강의에서는, 그 ㄱ번에서 나타내어진 길이(r)는 팽창한 길이이기때문에 138억광년보다 길다고 하는데, 이 둘이 지금 개념충돌이 일어남… 그럼 r의 길이는 정확히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거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므급야이식은 · 1130019 · 05/22 21:35 · MS 2022 (수정됨)

    제 생각임 틀릴수도있음 빅뱅우주론이나 정상우주론이나 팽창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고 우주가 138억년전의 빛이 138억년 걸려서 우리에게 도달했지만 빛이 오는 와중에도 우주가 팽창하고 있으므로 실제 거리는 138억광년보다 길지 않을까요 ?

  • alqxjs · 1214236 · 05/22 21:37 · MS 2023

    그냥 문제에서 관측 가능한 가장 먼 우주의 영역이 A까지라고 했으니 c/H는 A까지인 것이고 r은 그거보다 긴거죠

  • 아재용 · 1227239 · 05/22 21:42 · MS 2023

    그럼 r은 138억 + 38만 광년이라고 할 수 있나요??

  • alqxjs · 1214236 · 05/22 21:47 · MS 2023

    따로 배운적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빅뱅 후 38만년 전까지는 빛이 진행하기 전이니까 그것보단 더 작지 않을까요

  • 므급야이식은 · 1130019 · 05/22 21:59 · MS 2022

    근데 현재 우주의 지평선 거리는 465억 광년쯤으로 예측된다고 oz쌤이 그랬는데 38만 광년보다 더길수도 ... 우주 팽창 거리 계산하는법은 모르니깐

  • 므급야이식은 · 1130019 · 05/22 21:55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olumsolum · 1181116 · 05/23 01:51 · MS 2022

    16번 문제를 자세히 보면 색칠된 영역에서 빛이 삐뚤빼뚤하게 이동하고 있어요
    만일 우주의 크기가 138억광년 X 광속 이라고 한다면 빛이 138억년 동안 일직선으로 이동했다는 가정이 있어야 겠죠?
    (개념으로 충분히 풀릴 수 있는 문제이지만 신유형이기 때문에 출제자가 일부로 색칠된 영역에서 빛이 이동방향을 난잡하게 그려서 추가로 힌트를 준것으로 생각되네요)

  • 닥마 · 994443 · 05/25 18:04 · MS 2020 (수정됨)

    그렇게 푸는 문제 아닙니다. 빛을 표현할 때에는 원래 빛의 파동성을 표현하기 위해 삐뚤빼뚤하게 그립니다. 해당 문제 상황에서도 빛은 당연히 직진해요. 만약 그렇게 생각해서 푸셨으면 엉뚱하게 푸신겁니다.

  • solumsolum · 1181116 · 06/05 12:02 · MS 2022

    색칠된 영역에서 빛의 이동과 두번째 원에서 지구까지 빛의 이동방향이 일직선이 아닐텐데요? 왜 이 둘에서 차이가 있는건지 그럼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그냥 직선으로 그려도 됐을텐데
    잘못 생각한건 그 쪽 같군요
    그리고 아래서 광행거리와 고유거리로 설명하셨는데 물론 그렇게 풀어도 맞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푸는게 출제자가 의도한 거구요.
    문제는 보고 말합시다..

  • solumsolum · 1181116 · 06/05 12:32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olumsolum · 1181116 · 06/05 12:36 · MS 2022
  • 닥마 · 994443 · 06/05 20:21 · MS 2020

    일단 사과드립니다. 문제를 보지 않고 오만하게 어림짐작으로 답변을 드려 마음을 상하게 해드렸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리고 문제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해당 영역에서 빛을 저렇게 표현한 이유는 우주 배경복사가 방출되기 이전, 불투명한 우주를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길이가 138억 광년보다 긴지의 여부를 따지는 길이는 r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문제 풀이와는 상관이 없는 디테일인것은 맞습니다~

  • solumsolum · 1181116 · 06/06 01:32 · MS 2022

    날카롭게 말했는데 친절하게 답장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광행거리와 이동거리 개념을 써서 푸는 문제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대성학원 출제진이 조금 더 친절하게 준게 아닐까 라고 생각이 드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 닥마 · 994443 · 05/25 18:10 · MS 2020

    제가 문제를 직접 본적은 없지만 대충 무슨 문제인지는 알겠습니다. 일단 '광행 거리'와 '고유 거리'의 개념을 알고 계신지요? 광행거리는 어떤 천체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표현하는 거리이고, '고유거리' 는 특정 시점에서 그 천체와 우리 사이의 실제 거리를 의미합니다. 우주의 지평선까지 거리가 138억 년이라는 것은 광행거리 기준의 거리입니다. 우주의 지평선에서 출발한 빛이 있다고 하면 우리에게 도달하기 까지 138억 년이 걸린다는 이야기죠. 그러나 23학년도 9평 20번 문제를 푸셨으면 알겠지만, 우주는 팽창하기 때문에 어떤 천체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에게 오는동안 진행한 거리(광행 거리)보다 지금 현 시점에서 그 천체까지의 거리(현 시점 고유거리)는 더 멉니다. 그리고 해당 문제는 그걸 물어본 걸 것입니다. 기출을 단순히 풀고 끝낼게 아니라, 철저하게 '분석'하며 공부했다면 당연히 쉽게 맞춰야하는 문제입니다.

  • 아재용 · 1227239 · 05/26 10:07 · MS 2023

    오 광행거리 고유거리 개념은 몰랐네요. 명명하고보니 좀더 이해가 명확한것같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