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말국 [1224250] · MS 2023 · 쪽지

2024-06-05 17:02:09
조회수 3,389

[25학년도 6평] 국어 전문항, 모든선지 판단 근거 및 해설(비문학편)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68300505

(104.4K) [1120]

국어영역 선지 판단 근거 및 해설(비문학편)_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pdf

국어가 안 돼서 저한테 찾아온 학생들은 하나같이 말합니다.

"지문 이해가 안 되고 풀었는데 자꾸 틀려요"

그런데 점검을 해 보면, 지문 이해보다는 풀었는데 자꾸 틀리는,

선지 판단을 제대로 못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국어는 감으로 푸는 영역이라는 인식 때문일지도,

혹은 시간 부족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선지를 제대로 판단하는 습관만 잡아 줘도 많은 것들이 바뀝니다.

물론 '지문을 백퍼센트 이해할 필요 없다'는 절대 아닙니다.

백퍼센트 이해하지 않고 만점을 맞을 순 없죠.

다만 같은 지문 이해도에서 선지 판단의 정도가

생각보다도 더 크게 성적을 좌우합니다.

또한 지문 이해도는 독해력의 영역으로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속도도 느리죠.

다시 한 번 지문 이해도가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절대 아님을 밝힙니다.

근본적으로는 선지 판단보다 지문 이해가 더 중요합니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을 상상해 봅시다.

시험은 이전과 비슷한 변별력으로, 언매 1등급 컷 85점 정도로 출제되었습니다.

1등급을 원하는 두 학생이 있습니다.

학생 A는 시간 안에 45문제를 풀었으나 그 중 10문제는 50%의 확신으로 풀었습니다.

학생 B는 시간이 모자라 1지문을 날려 5문제를 못 풀었으나 나머지는 100%의 확신으로 맞췄습니다.

국어 시험이 끝나고, 두 학생의 점수가 같음에도,

A는 1등급을 맞지 못할까 불안해하지만

B는 1등급을 넘겼음을 확신하고 다음 시험을 준비합니다.

하루종일 진행되는 여정에서 첫 과목이 주는 확신의 힘은 어마어마합니다.

물론 그것보다도, 본질적인 우리의 목적은 결국 원하는 성적을 편차 없이 받는 것이겠죠.

푼 문제에 대한 정확도를 100%로 만들고, 이후 숙련도를 올려 푸는 속도를 올리는 것이

원하는 성적을 언제 어디서든 고정적으로 맞을 수 있는 방법이며,

<18학년도 전북대 의예과 정시 합격, 19학년도 중앙대 의학부 정시 합격, 21학년도 연세대 의예과 정시 합격>까지

3번의 입시에서 국어만큼은 항상 만점이었던 이유입니다.

 

정부의 킬러 문항 삭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능 국어는 여전히 강한 변별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 비결은 어디서 올까요?

겉보기에 난이도가 높아 보이는 지문과 <보기>를 없애고,

길이는 짧고 소재는 간단한데 무슨 소린지 알아듣기 어려운, 생각을 한참 해야 하는 지문과

꼼꼼히 해체하고 변환해 보지 않으면

근거를 잡아 o/x를 하기조차 어려운 선지들을 넣었기 때문이죠.

평가원 교수님들 참 대단하신 분들입니다.(반어법 아닙니다)

 

개별로 적으면 양이 너무 많아 자료 읽을 때 공통적인 사고의 흐름만 말씀드립니다.

자료에는 선지의 근거만 적어 놓았지만, 선행되어야 할 것은

선지를 읽고 ‘선지에 적힌 내용이 지문의 어떤 내용에 해당하는지 연결하는 것’ 입니다.

선지는 o/x를 판단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명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료에는 각 명제를 판단할 수 있는 지문 내용 혹은 해설을 적어 두었습니다.

즉, 선지를 읽고 o/x를 판단해야 하는 명제를 정리한 후

해당 명제가 관련된 지문 내용을 생각하고,

기억난다면 바로 판단, 기억이 안 난다면 지문에 가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지문을 잘 읽었으면 기억이 많이 나겠지만 안 난다고 해서 확인 없이 풀 수는 없습니다.

지문에 있다는 건 무조건 맞다는 거고, 어쨌든 중요한 건 문제를 맞히는 거니까요.

지문을 잘 읽는 방법은 다른 자료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문학편은 이 다음에 올리겠습니다.


오류/오타 제보와 자료에 대한 질문은 채팅으로 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