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학의 중요성 [1084184]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4-06-13 23:18:07
조회수 675

원래 가형에서 최상위권을 가르는 것은 '기하'였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68411087

학원 강사인 지인 말로는(12학번),

당시 이과에서 건동홍 포함 그 이하를 갈 학생들은 아예 기하와벡터 2문제 정도는 제끼고 시작하는게 낫다라는 말이 돌 정도였다고 합니다. 수학 3등급을 맞아도 국어 영어 과탐 평균이 2.5등급 정도만 되어도 건동홍 이하 공대는 수월히 갈 정도였던걸로 기억하니.. 


당시에 서울대 공대 상위권학과(당시에는 인설의와 비슷한 입결) 간 학생들도 제일 까다롭게 여기는 것이 미적분이 아니라 기하 쪽이었지요.


지금은 미적분이 가장 표본수준이 평균적으로 우수하지만,

그게 곧 과목이 어렵다는 것을 담보하는 것은 아닙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antata · 348885 · 06/13 23:19 · MS 2010

    당시 공간벡터는 공포 그 자체였죠

  • 서울대내꼬 · 1297638 · 06/13 23:19 · MS 2024

    기하만 몇개월공부해야

  • 킴류 · 290167 · 06/13 23:19 · MS 2009

    09가형 출신인데, 그당시에는 현재 선택미적분이 5문제 선택과목이었고 4점도 2문제에다가 그냥 쉬웠어요. 당시에 변별력 가르는 파트가 크게 2가지였는데, 하나가 확률(당시 수1)이었고 나머지 하나가 공도(당시 수2)였습니다.

  • 자운영。 · 1273911 · 06/13 23:20 · MS 2023

    최고난도문제 30번 미적분은 버려도 가형1 나오고 만점방지 킬러라 그냥 틀려도 의대 갈수잇어서

    진짜 1등급을 가르는 가형수학의 꽃은 기벡의 공도벡29번이었다라고 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