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만 못한 교사
며칠전에 제가 면직할때까지 같이 일하던
동료 선생님을 뵙고왔습니다.
그 분은 20년 교사생활 했는데
지방대 나와 9급으로 시작한 친구만도 못하다고 자조하시더라구요.
그때 9급으로 시작한 친구들은 이제 관리자 직급 달고
결재 내고, 말단보다 비교적 '관' 을 달고 일하는데
교사로 시작하니 20년을 일하고도 여전히 교단에서 실무자로 일한다고.
"내가 20년차 인데 여전히 매일 애들 뒤치닥거리 하고 학부모에 시달리고 행정에 진이 빠져
이게 나날이 심해지니 다 그만두는거지 뭐"
같이 교행으로 비슷하게 시작한 남편분이 지금은 교육청 국장 달고
자신보다 낫다며,, 한이라며,,
여전히 교사는 중도 면직률 1위이고
스트레스와 적성을 심히 타는 직업이지만
그래도 교사인 입장에서 9급만큼 힘들진 않지 않을까 싶긴 했어요
오히려 아이들을 좋아하시면 20년 30년 후에도 아이들 보는게 재밌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굴보면 아 내가 잘해야지^^ 하는 생각이 들게하는 사람이랑 만나고싶다
-
잇올 국어 교과 상담 받았는데 지문 이해할 필요 없이 걍 내용일치로 싸그리 다...
-
근데 애가 너무 짧뚱해서 목도리가 망토같아요
-
매일루틴 1
공부 하루 10시간 애니 4시간 만화 1시간
-
명문대 7
서강대 중앙대 한양대
-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번역... 또 번역... 또 번역... 그리고 퇴근하자마자 통역...
-
옯창 5
일단 난 아님
-
둘다붙었다는가정하에
-
뇨뇨뇨뇨뇬
-
연대 수학과 석사인건 아는디
-
가격 올림과 동시에 미친 감성의 표지 건물주가 되려는 것이냐..
-
지적인 민지 1
뿔테 잘 어울린다
-
왜 못보게 하냐 개너무하네
-
나도 현강맨하고싶어
-
다받는거였음? ㄷㄷ
-
자취를 하게됐네 0
고시텔이지만
-
아이츠라 젠인 도소카이 스탠바이미 시젠타이니 샤이나 카라사와기 네밧타 센세키 톤뎃타...
-
일반고 3.45 4
2학년 내신까지 이수단위해서 계산했는데 3.45나옴 이과 공학쪽 지원하고싶은데...
-
봄이그렇게도좋냐 0
멍청이들아
-
저 강대 교과식에서 출결에서 2점 까이는데 합격권임 걍 아무 지장 없는듯
-
대전 사는데 반수 의향 있고 에리카는 1학년 휴학 못해요 물리 안배워서 할 줄...
-
흐흐 0
-
생기부 컨설팅 0
생각보다 비싸네;;일반고인데 아무것도모르겠어서 찾아봤는데 ...ㅠㅜ혹시 조금 가격...
-
심심하군 0
또 롤인가.
-
동국대 화공 0
동국대 화공생물공학과 빠지시는분 있나요?? 예비 7번인데 되려나....ㅠㅠ
-
바람아 불어라 0
-
생윤 질문 1
평소 어른한테 인사 잘 하면 고득점 가능함? 진짜모름
-
파랭이 하나 무료나눔해요
-
입시 1년에 가장 많은 뱃지 모으는 방법이 뭐임? 학종은 좀 빡세니까 교과로
-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목표입니다 점수는 앵간 나온다는 전제하에
-
쿨하게 서류평가 이딴거 없어서 합격권 다 알 수 있고 최저도 3등급이내인게 ㄹㅇ 히또임
-
100 ×100 110×90같은 숫자 딱 봤을때 누가 더 큰지 바로 바로 나와야...
-
맥주수혈필요
-
그거 아세요 2
귤에붙어있는하얀거이름은귤락이래요~
-
세종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세종대 25][수강신청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세종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세종대생, 세종대...
-
플라톤처럼 생기면 플라톤이고 아리스토처럼 생기면 아리스토잖슴
-
술 먹고싶다 9
....
-
재미삼아 국어독해로만 풀어봤는데 8점 나옴
-
학교뱔로 내신 산출하는 거 어케 해요
-
그거 아세요? 1
원래 수특을 펼쳐보면교사들 이름이 쫙 보이면서집필진들이 다 떴는데요2026...
-
04가있었으면좋겠네요
-
내신 aa bb cc가 1차기준으로 몇점차이쯤 됨? 1차 max-min에 따라...
-
어질어질 0
머리 아픔
-
나 에2 탑레 다3
-
이번 수능에서는 서성한이나 중경외시 뱃지 수급해야겠다 0
연고대라인은 좀 힘들거같고..
-
새터신청 0
보통 언제까지 받나요? 고려대입니다
-
좋아하나요 보통?
-
예쁜 여르비만 5
너가왜클릭
뭐야 왜 옳은말함?
한낱 초등교사가 공무원을 얼마나 우습게 보는지 알 수 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타 직업군들이 우린 초등교사만도 못하다며 본인을 한탄할 때 어떤 반응이 나올지 너무 궁금하네요
아마 그 공무원분은 20년하고 사무관(5급) 과장 또는 서기관(4급) 국장 정도일 것입니다. 9급부터 관리자까지 너무나 힘듬을 겪습니다. 주말동원, 박봉, 6급 주사까지 치열한 경쟁. 거기에 마지막 관문인 사무관 달기까지 .. 이렇게 사무관 달면 4~5년 하고 퇴직이죠. 근데 교사는 7급부터 조직내 승진에 대한 큰 스트레스 없이 생활하죠. 관리자 교감 교장 될 비율과 공무원 4급까지 살아남을 확율은 비슷하거나 교육직이 더 높을 것입니다.
저는 내년에 교감으로서 승진하지만 같은 교사로서 무슨 마음인지 이해갑니다.
승진하시는 분들 중에 나이들어서까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아이들 가르치며 감당해야하는 초등교사의 삶에 대한 두려움, 힘겨움 때문에 건강까지 잃어가며 승진하신, 또 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이젠 힘들게 교감달고서 명퇴하는 초등 교감들, 교장들이 적지 않네요. 연금 관련이신 분들도 많았지만 예전과 다르게 학교가 힘들어 명퇴하신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제 주변에도 그런 연유로 명퇴를 계획하고 있는 50대 초중반 지인 관리자들도 있고요.
그런 연유로 일반 공직과 달리 교직에선 교사뿐 아니라 관리자까지 65세 정년 연장을 원치 않는 분위기입니다.
제 처가댁 형님들이 경찰청 간부, 우체국장, 시청 하위 공무원인데 이걸 이해 못합니다. 다들 정년 연장을 무척 반기시거든요. 경찰청간부이신 형님은 결재만 하며 민원 관련 아래서 다 처리하기에 할일이 없고 너무 편하다고 하십니다. 우체국장이신 형님도 바쁘긴 하지만 아래 있을 때랑 다르고, 장애인이시라 형제들과 가까이 있으려 본청에서 부른 승진 코스를 마다 하셨지만 만족하며 지내시고, 시청 하위 공무원인 형님은 윗사람들 부러워합니다.
다른 직업군의 고충을 얕잡아 보는 게 아니라 교권이 추락한 현실, 교사의 정당한 교육활동이 아이나 학부모의 감정상해죄로 아동학대 신고되면 긴 시간동안 정신적 고통, 경제적 손해까지 모두 감당해야 하며 무혐의 나도 아무런 보상도 사과도 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교사의 직무를 감당해야 하는 스트레스, 민원에 대한 불안...
10년전 어려운 학구에 있었습니다. 그때 동료 여선생님 중 한분이 행정실에서 근무하시다 교사가 동경이 되어 교대를 가서 선생님이 되신 분이 있었습니다. 회복적생활교육 연수로 교사들이 둘러 앉아 어려움을 나누는 시간이 있었는데, 그 분이 울면서 교사가 이렇게 힘든 것인지 몰랐다며 우시던 것이 떠오릅니다. 같은 학교에 있어도 직이 다르면 교사의 힘듦을 모르는데 위에 댓글하신 분들의 반응에 상처받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또한 그분이 행정실서 받던 스트레스, 불만족 때문에 교사가 되었지만 또다른 스트레스, 불만족... 같은 학교에서 있지만 교사는 행정직의, 행정직은 교사의 어려움을 모릅니다.
사회 인식과 달리 학교 구성원에서 교사가 다수지만 실상은 갑이 아닌 을의 입장으로 느껴지시는 것을 알기 힘들 것입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론 교육행정직은 공무원중에서 꿀보직으로 통하며 경쟁률이 높아가는 것도 현실입니다. 이건 아마도 학교밖 말단 공무원들은 민원에 노출되어 있지만, 학교 행정실은 그런 민원이 소소하고, 민원 노출은 대부분 교사들이니까요.
그리고 교육행정직, 공무직에 대한 인사권이 학교장에게 없기에 업무 조정시 행저일, 공무직이 동의하지 않으면 결국 교사들 업무로 배분됩니다. 일반 교사들이 교사일 아니다 하면 교무, 교감이 하게 되고.
저랑 인간적으로 친한 행정실장님들도 그런 면에서 공무원 중 교육행정직이 업무 스트레스면이나 직무 수행 워라벨이 좋다 하시더군요.
결국 일의 고충, 스트레스는 상대적인 것이기에 자기 것이 가장 크게 보여지기에 서로 소통하며 서로의 고충을 알아가며 조율해 가는 것이 최선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바라는 것이 있다면,
초등학교에서 정당한 교육활동에 대해 기분상해죄로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사회적 공감 및 제도적 구비 등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초등학교에서 교사, 교육행정직, 공무직별 분명하고 정확한 업무 메뉴얼이 정해져 학교에서 불필요한 갈등과 분란이 없도록 제도적 보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