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국어에서 양과 질,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저는 이원준선생님에게 국어를 배웠고 제가 쓴 글과 부분적 일치 할 수 있음을 밝힙니다, 제글을 읽고 관심이 간다면 이원준 선생님을 수강해보기를 권장합니다.
양과 질이란?
먼저 양(量, Quantity)은 사물의 수량이나 단계의 정도, 크거나 적음 등을 의미합니다.
특징으로는 숫자로 나타낼수있다는 측정 가능성, 점진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연속성, 일정양에서 질적 차이로 넘어가는 축적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質, Quality)은 사물이나 개념의 존재나 성질의 유무를 의미합니다.
특징으로는 다른것과 구별되는 본질적 특성, 비교적 측정의 어려움, 양적 변화로 인한 변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면
양: 하루에 10시간 공부하기
질: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공부하기
칸트의 범주론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논의의 범주로
양은 단일성 (Unity) 하나의 개체 (ex. 사과한 개), 다수성 (Plurality) 여러 개체" (ex. 사과 여러 개), 전체성 (Totality)"모든 개체를 포함한 전체" (ex. 바구니 속 모든 사과)
예시:
"이 방에는 책이 3권 있다!"> 다수성
"전체 학생 수를 계산하면 100명이다."> 전체성
질은 실재성 (Reality) 어떤 것이 존재함 (ex. "태양은 붉다"), 부정성 (Negation) 어떤 것이 존재하지 않음 (ex. "이 방에는 빛이 없다."), 제한성 (Limitation) 부분적으로만 존재함 (ex. "이 음악은 약간 조용하다.")
예시:
"이 사과는 빨갛다."> 실재성
"이 방은 밝지 않다."> 부정성
"이 차는 따뜻하지만 뜨겁지는 않다."-> 제한성
으로 볼수 있겠습니다.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수능국어에서 양과 질을 직접 물어보기 보다는 양적 변화와 질적변화를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적 변화는 강화와 약화, 질적 변화는 생성과 소멸을 의미합니다.
비유 적으로는 양적 변화는 계단을 한칸 오르거나 내려가는것, 질적 변화는 층을 바꾸는거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두 변화 모두 원형이 있어야 변화 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10개라 9개로 줄어들 수 있고, 2단계여야 1단계로 내려갈 수 있다는 것 입니다.
확장하면 있어야 없어질 수 있고, 전진해야 후퇴할 수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반로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움은 없어야 느낄 수 있고, 피해를 받아야 회복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문제로 이해를 돕겠습니다.
문제: 다음 중 질적 변화에 해당하는 사례는 무엇인가?
① 한 학생이 하루 2시간씩 공부하다가 5시간으로 늘렸다.
② 물을 가열했더니 온도가 점점 올라가다가 100도에서 끓기 시작했다.
③ 한 회사가 제품 생산량을 매달 100개씩 증가시켰다.
④ 작은 가게가 점점 손님이 많아지다가 프랜차이즈로 확장되었다.
①, ③은 양적 변화, ②, ④는 질적 변화에 해당합니다.
정답: ②, ④
기출로 예시를 들어 드리겠습니다.
2020수능
이 지문에서 베이츠주의자들은 믿음을 양적 차이 즉 정도의 차이라라 설명하고 전통전 인식론자는 질적차이라고 설명합니다.
간단히 도식화 하자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17번 문제의 정답선지인 2번 문제를 본다면 ㄱ즉 전통적인식론자들은 거짓이라고 믿는것을 거짓임을 강하게 믿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질적 변화와 양적 변화를 의식하며 독해 했더라면 바로 전통적인식론자는 질적차이지 라고 생각 할 수 있을겁니다.
따라서 선지의 정도라는 말은 양적차이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이런 문제처럼 수능에서는 양적 범주와 질적 범주를 다르게 해야 선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지문을 독해할때 양적 범주와 질적 범주의 차이를 유심히 파악하며 읽는다면 이런 선지들을 뚫어 나갈 수 있다니다.
독해를 하실때 팁은 질적 변화는 O/X 양적 변화는 부등호나 화살표로 표시하면 편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2 공부하다가 정신 나가게된거임? 아 그나저나 수2 진짜 재미 드럽게 없네요 로그랑 동급이다 진심
-
디지스트 반도체 계약 예비 받았는데
-
전자공학과 들어갈것같은데 미리 공부해야할것 있을까요? 4
물리 화학 진짜 못하는데 고등과정 물화는 제대로 알고가야할까요?? 커리큘럼 보니까...
-
몇배수까지 줌?
-
[국어] 오이카와가 말아주는 기출문제 - 2013 LEET 언어이해 12
오늘 살펴볼 기출문제는 2013 LEET 언어이해 22번~24번 문항 '조선의 수령...
-
반포기 상태라 추합 확인 계속 해보는 게 귀찮네요...
-
ㅇㅅㅇ
-
있나요ㅠㅠㅠ 예비2번인데
-
순천향의 최초합 ㅇㅈ 34
당연히 빠집니다 수시 광탈의 설움을 정시 3최초합으로 달래네요
-
이거 b가 -루트 3보다 크면 f(b)는 x축 우ㅣ로 그어지게 되는건가요
-
전화해야함??
-
약대다니는거 0
왤케 노잼이지 시골이라 그런가
-
ㅈㄱㄴ
-
재종 들어가자마자 학습 담임쌤한테 상담 요청해야되나
-
제목 그대로 예비고2구요 고1 모고 3~4등급대였어요 그래서 고2때는 수1 수2 +...
-
물2는 물1 쌩노베 상태에서 할 수 있나요??
-
ㄷㄷ
-
화작미적사문세지입니다. 수학은 낮2예상하고있음 ㅈㅂ알여주세요ㅠㅠ
-
투과목 현실 3
나는 다르다 나는 서울대 갈거다라는 생각으로 시작하지만 수능장에 가면 나도 그저...
-
경쟁률 개치열하네 진짜
-
1시간 자리 비워서 이레즈미한 여자 큐레이터분이 화난것 같은데 좋게 말해주는 말투로...
-
가군이 붙을까 1
-
아주대 대학 라인 18
아주대 대학 라인 위치가 어디정도 되나요? 중경외시 건동홍숙 국숭세단 같이 묶어...
-
오랜만에 수열의 귀납적 정의 (문항공모 떨어짐) 문제 올려봅니다 노가다해도 되지만,...
-
원래 의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딱히 한적도 없었고 지금 의대 가면 언제 졸업할 수...
-
제가 서강대 조발하는지 모르고 그냥 넘겼는데 이러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
이러면 진학사 탓 할수가없는데
-
학부로 60명 뽑는 학과인데 예비 76번입니다 경쟁률은 4.1:1입니다 가능성있을까요
-
숭실대 자유전공 빠질듯요 아주대 ㅎㅎ
-
신림역말고 서울대벤처타운역 근처
-
학교 갈수있나? 0
희망가져도되나
-
밑글보고 생각나서 가져옴 메가스터디 태국판:...
-
가령 본인은 영어 수능 수요가 그렇게 많지 않은 걸 알고 어학시험 스피킹으로 과외를...
-
충남의 최초합 7
지역인재지만 정말 열심히 했어요! 모두들 원하는 대학 합격을 기원합니당 그리고...
-
인싸<< 보통 스트레스 해소를 제때해서 멘탈이 괜찮음 아싸<< 그냥 남 상관 안쓰고...
-
수학커리큘럼 짜는데 조언 좀 구하고 싶습니다 생각하고있는 커리 [미친기분...
-
라떼보다 어렵게 나온듯
-
홍대 법대 추합 1
당연히 최초합 예상했는데 예비 2번 떴어요 홍대 추합률 높으니 그냥 붙었다 생각하고...
-
인문사회 계열 예비 13 1차에서 붙어주세요..
-
다들 맛점하세요 4
전 햄부기함부르크머시기 먹으러왔어요
-
수1 실생활 문제 수능에서 안나온다고 거르고 풀라는데 저는 예비고2라 모고는 잘...
-
레전드병신 13
8시반 수강신청 못일어날거같아서 밤새겠다고 깨있다가 6시반에 잠들어서 10시반에 깬...
-
인논 질문 0
고3 현역이고 1월달부터 인문논술 준비하고있는데 문제는 하기가 너무 귀찮음 다른거...
-
그래서 현생바쁜데도 한번들렀는데
-
합격했습니다 8
자랑할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역 때 강경제도 떨어졌었을만큼 노베이스에서 재수해서...
-
오노추2 1
-
성적은 확통사탐 44222 군수하게 되면 5월에 공군 갈수 있어요
-
아주대 자전 1
아주대 자전 예비 131번… 추합 기대하긴 좀 그렇죠..?
-
고려대 5
군대갑니다
-
메가스터디, 태국서 '1타 강사' 영입한 이유 살펴보니 [이미경의 교육지책] 11
교육기업들이 잇따라 해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만큼 해외...
오 2021 브레인크래커 내용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