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종T] 11번 이의 제기에 대한 교육청의 답변입니다.
■ 질의 내용
3월 13일 실시한 학평 시험 11번 문제에 논리적 결함이 있어 다음과 같은 사유로 복수 정답을 요구합니다.
11.<보기>의 (가)~(다)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 < 보 기 > |
| |||||||||||
|
| ||||||||||||
| 선생님:지난 시간에 배운 음운의 변동에 대해 잘 기억하는지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낫다’와 ‘낳다’가 활용될 때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은 무엇일까요? 학 생:둘 다 음운의 (가) 현상이 일어납니다. 선생님:맞아요. 그래서 사람들이 가끔 혼동해서 틀리곤 하지요. (가) 현상이 일어나는 용언들 가운데 불규칙 활용을 하는 것은 모두 음운 변동이 표기에 반영되는 반면, 규칙 활용을 하는 것은 표기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영되지 않기도 합니다. ‘낫다’와 ‘낳다’는 다음 중 어떤 유형에 해당할까요?
학 생:‘낫다’는 (나) , ‘낳다’는 (다) 에 해당됩니다. |
| |||||||||||
|
(가) (나) (다)
① 축약 Ⓐ Ⓒ
② 탈락 Ⓑ Ⓐ
③ 탈락 Ⓒ Ⓑ
④ 교체 Ⓑ Ⓒ
⑤ 교체 Ⓒ Ⓑ
(가)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탈락 형상뿐만 아니라 교체 현상도 가능합니다. ‘낳는’과 ‘낫는’ 모두, [난는]으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각종 교과서에서 동화는 교체의 범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해당 지문에서, ‘선생님’의 질문은 “‘낫다’와 ‘낳다’는 어떤 유형에 해당할까요?”라는 것이므로, ‘낫다’와 ‘낳다’는 (가) 교체 현상이 일어나는 용언들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불규칙 활용을 하는 ‘나아’, ‘나으니’ 등은 모두 음운 변동이 표기에 반영되는 반면, 규칙 활용을 하는 ‘낳아, 낳으니’는 표기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영되지 않기도 합니다. 즉, (가)에 교체를 넣어도 전혀 논리적인 결함이 없어지므로 3번을 답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중대한 결함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고로 이 문제의 문제점은, 첫째, < (가) 현상이 일어나는 용언들>의 범주가 기본형을 포함한 용언들일 수 있다는 점, 둘째, <모두 음운 변동이 표기에 반영되는>이라는 언급에서 어떠한 ‘음운 변동’인지 적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 현상과 관련된 음운변동인지 아닌지 적확하게 판명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원래의 답인 3번과 5번을 복수 정답 처리해야 합니다.
■ 출제팀 답변
11번은 용언의 활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과 표기와의 관계를 묻는 문항입니다. <보기>의 흐름에 따라 우선 ‘낫다’와 ‘낳다’가 활용될 때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을 확인토록 하고 있는데, 이는 질의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교체”와 “탈락”의 두 가지가 모두 해당됩니다. 따라서 (가)에는 ‘교체’와 ‘탈락’ 둘 중 어느 것이나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활용 과정에서 ‘교체 현상’, 즉 비음화나 경음화 등이 일어나는 용언들의 경우에는 해당 단어가 규칙활용을 하느냐 불규칙 활용을 하느냐에 관계 없이 교체 현상이 표기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음운 변동과 표기의 반영 여부를 관련지어 묻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가)를 ‘교체’로 보게 되면 정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문항의 설계 의도가 애초부터 ‘교체 현상’이 아니라 ‘탈락 현상’과 ‘표기’와의 관계를 탐색토록 하는 데 있는 것과 무관치 않습니다.
-> 저도 그 정도는아는데, 왜 이렇게 내셨는지...ㅠㅠ
‘교체’와 달리 ‘탈락 현상’의 경우에는, <보기>에 제시된 ‘낫다’(ㅅ탈락)와 ‘낳다’(ㅎ탈락)뿐 아니라 ‘울다’와 같은 ‘ㄹ탈락’, ‘쓰다’와 같은 ‘ㅡ탈락’, ‘푸다’와 같은 ‘ㅜ탈락’ 등 탈락 현상 전반에 걸쳐 불규칙 활용은 탈락 현상이 표기에 반영되는 반면, 규칙 활용은 탈락 현상이 표기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영되지 않기도 합니다. 이 문항에서 주어진 ‘낫다’와 ‘낳다’를 두고 탈락 현상이 표기에 반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정답은 ③이 됩니다.
읽기에 따라서는 <보기>의 두 번째 선생님 진술이,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과 ‘표기에의 반영 여부’를 분리하여 판단하도록 한 것처럼 읽힐 수도 있어 질의에서 지적하신 것처럼 정답을 확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보기> 전체의 흐름을 고려할 때 두 가지(음운변동과 표기)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고, <보기>에서 말하는 음운 변동을 ‘탈락 현상’으로 이해할 경우 정답이 ③이 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 그럼 A현상과 관련된 음운 변동이라고 했어야죠. 에효..
앞으로 좀 더 치밀하고 신중하게 문항을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치밀성이 떨어진 것은 인정하셨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예비 140등 정도로 추정되는데 가능성 있을까요? 83명 뽑아요. 작년 충원률...
-
생각보다 많이들 풀어봐주셔서 놀람요 ㄷㄷ… 감사합니다들
-
먹을 친구도 돈도 없다 마시면 살찌니까 먹지 말자고 세뇌하고 있음
-
공보다는 수임
-
1. 220722 2. 241122 3. 240522 4. 241128 5....
-
괜찮은 사람도 있긴한데 이상한 사람 비율이 훨씬 많고 만나서 성격유형검사 하라거나...
-
3markets[ ] - 사회의 쓰레기 카자마 타카후미 가사는 심상치 않은데...
-
북해도 여행할때 들른 고속도로 휴게소
-
시대인재 기숙 1년 처박으시면 의대 가실듯 ㅋㅋ
-
오르비망함? 0
-
풀이에 들어가기 앞서 첨언을 하자면 기출만 잘 공부해도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고...
-
유미픽하고 져서 우는 케리아마저 사랑스러워보여서 범인 찾기 할 때 열심히 쉴드 치고 다님
-
친구안만나고 게임안하고 술약속안한지 두달째 강제 도파민 디톡스중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와 좆됐네 6
고2기출이 왜 잘 안풀리지
-
흠
-
6 9 수능
-
의전원 시절 조금 뽑던 시절 사람들은 어케 간거여
-
롤하고 싶다 2
동시에 롤하기 싫다
-
한지 세지 0
한지 세지 난이도랑 공부량 차이남? 둘중에 한개만할건데 추천좀
-
신설과는 0
선배가 없을텐데 새터나 MT이런거 없나여
-
평가원전형인데 걍 떨어진다고 생각해야되나
-
객관적으로용 ㅇㅇ 작수 기술지문이랑 비슷한 난도 뭐 있을까요
-
어쩌다가. 그 영상을 보았는데요 한번쯤 수는 어떤 느낌일까 궁금한 적이 있어서...
-
여캐 투척 2
-
방학 때 영어 공부나 좀 할려는 데 구문 독학서 추천해 주실 수 있나요?
-
이에흐이아 헤헤 3
줄선물이 잇는데~
-
현대 과학이 해결해줄려나
-
이신혁 강의가 3시간에 4만원씩 주면서 들을만한가? 7
자료만 받고 벅벅 풀면 되지 않을까?? 근데 이신혁지구과학연구소 사이트에서 자체교제...
-
훗 좋아 이대로만 가죠
-
답은 이따가 알려드림 사실 나도 푸러야댐
-
저질렀다 5
-
앞으로 매주 토요일마다 1~2세트씩 올려볼 예정입니다. 지문이 좀 낯설긴 하겠지만...
-
움모멘토 3
쟤가날갠소 하고싶대소 날선물했오
-
https://youtu.be/r2ko422xW0w?feature=shared
-
누구 계신가요?.. 김동욱?
-
ㅇㅇ? 님들 부모님 신혼 몇 년차에 태어남?
-
부엉부엉
-
이번에 영어난이도 때문에 중상위권대학은 작년보다 누백이 떨어질까요? 0
제가 알기로 영어 절평으로 바뀐후에 2,3등급 비율이 제일 적은 시험이...
-
탈주닌자클랜댓갱 7
도망가도망가
-
ㅇㅇ?
-
시대인재같은 재종학원은 한달원비가 얼마나 하나요??? 0
인터넷에 보니 삼백만원 조금 넘는다던데 맞나요??? 엄청 비싸네요
-
살이 너무 찜 "지방"의니깐 푸흡흡흡
-
이게 바로 driver diff
-
25사관20 2
-
오르비한정피카소 9
-
수시러인데여 정시도 어느 정도 생각하고 있어서요ㅠㅠ 뭔가 내신이랑 수능 둘다...
-
취르비입갤 4
정신똑바로차려야지
-
계획대로 하지는 않겠죠 진짜 ㅋㅋㅋㅋ 서울대 시립대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과기대 지거국
아니 ㅋㅋㅋ 치밀하지 못했다고만 하면 뭐 어쩌라고 ㅋㅋㅋ 복수정답이라도 해줘야지요!!!
교육청 : 아몰랑 내가 짱이양
역시 서울대/교원대 나왔다며 엘리트라 자부하면서 교육청에서 세금타먹는 분들이네요.
여러모로 .. 참신함(?)과 트렌디함(?)을 보여주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오류가 많아서 아쉬웠던 시험이라고 생각해요. 그나저나 11번을 이렇게 넘어가버리네요.
트렌디함과 참신함의 전제는 엄밀성인데 그 부분이 넘나 아쉬운..
ㅋㅋㅋ
넘나 아쉽다 못해 오류 속출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