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가무너지고 [691146]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1-04 16:26:10
조회수 251

생윤갓들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9502409

칸트는 사형제도가 공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본다.(x/o)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021 · 457716 · 16/11/04 16:30 · MS 2013

    올해 6평 정답선지...

  • 단맛생윤 · 684184 · 16/11/04 16:33 · MS 2016

    칸트는 국가가 집행하는(=공적) 범죄자의 행위에 대한 응보의 방법(=응보적 정의)으로서 사형제 (=실현수단)를 인정합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칸트는 응보론자로서 형벌을 범죄 예방의 수단으로 간주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이며, 칸트에게 목적적 존재는 인간뿐이기 때문에 사형제도는 수단으로서 인정이 됩니다. ^^

  • CRITICAL POINT · 680832 · 16/11/04 16:43 · MS 2016

    강상식t 인가요?

  • 단맛생윤메가강상식 · 684184 · 16/11/04 16:51 · MS 2016

    넵 강상식입니다. ^^

  • 팩스 · 661808 · 16/11/04 16:56 · MS 2016

    강상식선생님 소로는 시민 불복종을 최후의수단으로 사용하라고안하나요?

  • 단맛생윤메가강상식 · 684184 · 16/11/04 17:53 · MS 2016

    수능특강 137P의 자료 플러스를 잘 읽어 보세요.

    "불의가 당신으로 하여금 다른 사람에게 불의를 행하는 하수인이 되라고 요구한다면, 분명히 말하는데, 그 법을 어겨라. (중략) 악을 치료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방법을 받아들이자는 얘기가 있는데, 나는 그런 방법들을 알지 못한다. 그런 방법들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그 전에 사람의 목숨이 끝날 것이다. " - 소로, 시민 불복종-

    그리고 이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해설하고 있습니다.

    "소로는 자신이 옳다고 믿는 양심에 어긋나는 불의한 법에 복종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그는 타협을 하거나 시간을 갖고 기다려 보자는 주장에 대해 이를 통해서는 근본적으로 악법이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국어가무너지고 · 691146 · 16/11/04 17:39 · MS 2016

    감사합니다!

  • say yes · 562410 · 16/11/04 17:57 · MS 2015

    단맛생윤 이름 잘 지으신것 같아요 입에 착착 감기네요 ㅋㅋ

  • 단맛생윤메가강상식 · 684184 · 16/11/04 17:58 · MS 2016

    크~ 감사. 그런데 메가에서는 약해보인다고 이름을 다시 바꾸자고 하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