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킹콩 [589097] · MS 2015 · 쪽지

2016-01-28 14:02:12
조회수 8,039

쌩삼수 서울대)) 대학생활팁 7.대학교 학생회의 모든것②

게시글 주소: https://profile.orbi.kr/0007793725

---------------------------------------------

2016년 12월 21일 수정했습니다.

제가 쓴 글들이 책 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홍보 내용 뒤 본문 이어집니다.)

신환회, 새터에서부터 자기소개, 장기자랑, 술자리 대처법그리고 선배와 밥약잡기, 인싸아싸, 통학/기숙사/자취, 동아리 등 대학생활과
미팅, 소개팅, CC에 관한 이야기와 더불어
수강신청잘하는방법, 대학교공부법, 전과, 복전/부전 등등

제가 8년간의 대학생활을 겪으면서 얻었던 경험치들을
대학교 신입생들을 위한 대학생활팁으로 죄다 쏟아냈습니다 ㅎㅎ

예쓰24나 교보에서 용킹콩 또는 대학생활팁으로 검색해주세요


------------------------------------------------


어제 편에 이어 씁니다.

어제 글을 못보신 분은

쌩삼수 서울대)) 대학생활팁 7.대학교 학생회의 모든것①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7781670

를 보고 오시면 됩니다.




읽으시기 전에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2. 학생회


1) 개념정의 학생회집행부

학생회란 말 그대로 학생들의 모임이다.

보통 학생회라고 부르긴 하지만가끔 자치회라고 하는 곳도 있음


일부 고등학교를 빼고는 대부분 학교의 어용단체 정도에 불과한

고등학교 학생회와 달리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대학교 학생회는 정말 현실정치의 축소판이라고 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음물론 대학생활의 포커스가 개인의 삶에 더 맞춰져 있는 오늘날에는

학생회 활동 자체가 다른 동아리대외활동에 비해 저조한 감이 있다.


어찌됐건

여기서 개념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우리가 동아리 가입하듯이 가입해서 활동하는,

흔히 학생회라고 칭하는 단체는 엄밀히 말하면

학생회가 아니라 학생회 집행부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나 학생회해” 정도로 말하니까 찰떡같이 나 학생회 집행부 한다” 정도로 알아들으면 된다.


학생회 구성원들(대개 그 학교혹은 그 학과 소속인 학부생들)

선거로 학생회장을 뽑게 되면그 선출된 학생회장이 집행부를 꾸린다.

비유해서 말하자면 엄밀히학생회는 국민 전체고,

학생회장이 대통령이면학생회 집행부는 내각(장관 등 행정부혹은 정부 공무원이라고 보면 됨.


운동권 글에서 밝혔던 것처럼 학생회라는 개념은

운동권들의 투쟁에서부터 생겼다고 한다.

이미 학생들의 소속 단위는 명확하다왜냐하면학교 규칙상에서 단과대학소속 학과/학부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거기 위에 추가적으로 학생회라는 조직을 더했다는 것은 말 그대로 그 단위들의 학생들을 조직화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정말 옛날 80년대에는 학생회 집행부내에는 군대처럼 위계가 있었다고 한다아마도 학번제같은 문화는 여기로부터 유래되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2)단위에 따른 학생회 분류

학생회를 단위의 층위에 따라 분류하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와 같이 전체 학교 학생을 위한 총학생회”(총학)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생회와 같이 단과대학 학생을 위한 단과대학 학생회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학생회와 같이 특정학과 학생을 위한 /반 학생회

또 동아리들을 대표하여 존재하는 동아리연합회가 존재한다.

층위에 따라 규모가 비례하긴 한다만꼭 그런 것은 아니다.


한편 전국 총학생회장 모임전국 법학과 학생회 연합 같은 한 학교를 넘어선 전국단위 학생모임이나

서울대학교 기독인 모임 같은 단위가 특정되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모임,

서울대학생모임처럼 그 주체가 제대로 명시되지 않은 학생모임들의 경우는

엄밀히 말했을 때 학생회라고 할 수는 없다.



앞으로의 논의들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를 기준으로 하되가끔 단과대학 학생회의 이야기를 껴 넣는 식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3)학생회의 규칙학생회칙

학생회장이나 학생회 집행부에서 간부를 맡거나동아리 대표를 하거나과대 등의 대표를 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아마 졸업할 때까지아니 졸업하고 난 이후에도 평생 있는지조차 모를 것이 바로 학생회칙(회칙)이다.

학교 규칙은 학칙이라고 하는데,(여기에 성적처리방법징계 방법 등이 담겨있다)

학생회칙은 학생회의 규칙이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을 혹시라도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http://we.snu.ac.kr/ch_rule


이 학생회칙은(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기준)

학생회 회원 자격학생회장의 정의/역할/임기학생회 의결기구(학생총회학생대표자회의운영위원회), 선거재정(예산결산), 산하기구들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학생회칙에는 여러 내용들이 있긴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학생회장을 어떻게 뽑나 하는 선거의 절차와 학내사안 의결기구의 절차들이다이 내용은 나중에 학생회 선거 나가실 거 아니면 그냥 훅훅 지나쳐도 될 듯



간략하게 설명하면

(1)서울대학교 학생회 회원

바로 서울대학교 학부생들이다대학원생은 포함 안 된다이들은 학생회원이자 동시에 학생회장 선거권자/피선거권자이다.

총학생회의 회원은 학교 학부생 전체단과대학 학생회의 회원은 그 단과대 학부생 전체과반 학생회의 회원은 그 과/반 학부생 전체다.

한편 특이하게도 서울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치의학전문대학원생은 대학원생임에도 불구하고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회원으로 포함된다반면 법학전문대학원생을 비롯한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에 포함되지 않는다.



(2)학생회 의결기구들

학생총회학생대표자회의운영위원회가 있다이들 각각이 학생들을 대표하면서 규모에 따라 위계를 가진다이러한 기구들을 통해 학내 사안들을 결정한다.


(A)학생총회

학생회 회원이 다 모이는 자리즉 서울대생들이 다 모이는 자리임비유하자면 만민공동회 같은 느낌개최되려면 정원의 10%가 모여야 함즉 서울대생 정원 16000여명의 10%인 1600명이 모여야 개최됨아마 서울대학교 폐지정책이 나오지 않는 한 힘들 것이다법인화 때 됐다고 한다.



(B)학생대표자회의

학생회 소속 학생 자치단체들(단과대학/동아리 대표들)이 모이는 자리여기가 국회 같은 느낌?

보통 한 학기에 한 번씩 여는데정원이 130명 정도 되는 듯개최되려면 그 50%가 모여야 한다최소 65명 가까이 모여야 함그래서 맨날 저녁 7시에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65명 다 모일 때까지 기다리면 보통 8시쯤 시작함그리고 이 기구에서 총학생회 재정 예산결산에 대해 심의하고중요사안을 다루기 때문에 10시간 가까이함국회 예산결산이 왜 그렇게 나 오래 걸리는지 이해하게 됐음.

내가 3번 회의 참석했었는데새벽 5~6시 정도에 끝나고 집 갔음아 근데 한번은 이 회의 마치고 새벽에 집 가서 한 시간 자고 수업가려고 학교 왔다가수업 째고 김태희님 보게 됐던 적있음.(증거사진 있음나중에 썰 풀겠음.



(C)운영위원회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단과대 학생회장들+동아리연합회장이 모이는 자리비유하자면 내각회의 정도?

보통 매주 일요일저녁마다 함학생회장 시절 일요일 밤 맨날 요 회의하러 학교 왔어야 했음거기다가 복잡한 안건 있으면 밤늦도록 집 못 가고... 하하



(3)선거

학생회장 지원자격은 뭐고선거운동은 어떻게 하고어떻게 뽑고어떻게 당선되거나 무산되는지또 탄핵은 어떻게 시키는지

근데 이게 분량이 엄청 많아서 보통 학생회칙에 규정되기보다는 시행세칙이라고 해서 따로 규정함.

혹시 선거 나가고 싶은 사람을 위해 주소 첨부함.

http://we.snu.ac.kr/index.php?mid=ch_rule_sub&document_srl=132871

실제로 선거할 때는 이 시행세칙을 토대로 선거가 이루어지며룰을 어긴 선거캠프는 이 세칙을 토대로 징계한다.



(4)재정

학생들이 납부한 학생회비를 어떻게 분배하고어떻게 결산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학생회비는 학기당 만원인데납부는 자율이다. 1학년 때는 거의 90%가 넘는 납부율을 보이나학년이 높아질수록 납부율은 급격히 떨어진다고 한다.



(5)산하기구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산하의 단체들에 대한 내용축하사(서울대학교 축제 준비하는 사람들같은 것들산하기구들은 보통 학생회장이 바뀌어도 기존 구성원을 그대로 유지한다마치 대통령이 바뀌어도 장관을 제외한 공무원들은 그대로 일하는 것처럼?




4)학생회 집행부의 조직 형태

앞서 말한 것처럼 학생회장이 선출되면 학생회장을 중심으로

집행부가 구성된다.


학교/학과에 따라 학생회장만 있는 경우도 있고부학생회장까지 있기도 한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의 경우에는 학생회장과 부학생회장이 함께 선거를 한다.

사회과학대학의 경우 재작년까지는 학생회장만 뽑았었는데,

작년부터는 학생회장과 부학생회장을 뽑게끔 회칙이 바뀌었다.


집행부 역시 학교/학과에 따라 집행위원회집행국으로 불리기도 하며,

여기에 집행위원장(집행국장집행부장)이라 불리는 회장단 다음가는 중간관리자가 존재한다.



그 아래에는 사무/홍보/대외협력/총무 등 기능에 따라 하위부서()가 존재한다.

이를테면 사무국홍보국대외협력국총무국 하는 식으로.

마찬가지로 각 부서의 장과 원이 존재한다.

이를테면 사무국장사무국원 하는 식으로.


이러한 명칭기능역할은 정말 학생회들마다 다 각양각색이다.

마치 국가마다 대통령제니 의원내각제니군주제니 다른 것처럼 학교/학과마다 다르다.



5)학생회 집행부에서 하는 일

잡일부터 머리 쓰는 잡일까지 다한다.

우선 경영대 학생회를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면


(1)새내기 맞이 행사 일정 마련 각 반 신환회 준비 및 진행은 각반 과대/과책이 하더라도 새터 장소예약프로그램 준비안전상황체크물품 준비물품 이동진행뒤처리 등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학생회에서 주관하는 경우가 많다애초에 새터는 학교보다 학생회에 의한 경우가 많다.

(2)축제 일정 준비아이디어 회의물품 배달프로그램 진행뒷정리행사 홍보 등등..

(3)학술제 학회+학술동아리들 간의 대결!! 행사 준비진행 등등각 학회학술동아리 쪼기

(4)체육대회

(5)선거 학생회장 선거

(6)시험기간 간식사업

(7)선배와의 멘토링 선배 섭외장소 및 행사 준비프로그램 진행

(8)강연회 준비 강연자 섭외장소 준비

(9)학생회 과잠바 공동구매

(10)학교교육환경/시설 개선 학교학장단과의 협의를 통해

(11)학교와 행사 공동 주최

(12)매주 회의


이러한 행사들을 준비진행마무리하는 것과 더불어

친목을 위한


(13)뒤풀이

(14)LT (Leadership Training)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여기에 총학은

등록금 심의 위원회나

학교 내외부 단체들 행사를 지원후원하기도 한다.

때로는 사회문제나 교내 문제에 대해 참여하기도 한다.



6)학생회가 되는 법

우선 학생회원이 되는 방법은 그냥 입학하면 된다입학하면 자동적으로 학생회원이 된다.


학생회 집행부원이 되는 방법은 그 집행부에서 모집 공고를 냈을 때지원하면 된다지원절차는 물론 다 다르겠지만대부분의 학생회는 그 집행부 내에 아는 사람이 없다 해도 보통 일손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원하면 곧잘 받아준다.

경영대 학생회의 경우에는 서류&면접을 통해서 거르긴 했음.

혹은 선거를 할 때선거 캠프에 참여해서 선거를 돕고당선 뒤에 참여하는 방법도 있다.

어떤 방법이든 하고 싶으면 그냥 가서 하고 싶다고 말하고 지원하면 됨.


그러나 위의 할 일에서 봤던 것처럼

어떻게 보면 쌩노가다 같은 일들도 다른 보수 없이오히려 자기 시간의 일부를 희생해가며 하는 거다그 시간에 공부를 할 수도 있고이성 친구를 만날 수도 있는 건데!

최소한 마인드 자체가 양보와 희생이 어느 정도 전제되어 있어야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다보니 오늘날 학생회활동에 전혀 관심이 없는 대학생들이 많긴 하다.


물론 그것은 그들의 자유다.

그런데 그렇게 학생회에 대해 무관심한 사람은 단지 자기 공동체에 대한 무관심일 뿐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그러나 한 꺼풀 까보면그 공동체를 리딩하는 학생회가 다루는 일 중에서는 내 이익과 관련된 일이 언제든 존재할 수 있다이 점을 감안한다면 학생회에 대한 무관심은 내 일에 대한 통제권을 아예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대학교에 간다면집행부는 안하더라도 항상 학생회의 활동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는 것을 추천한다단적으로 그들이 사용하는 돈들은 너의 등록금일 테니까.


그리고 한번쯤 집행부로서 네가 속한 공동체를 위해 일 해보는 것도 좋다그리고 기왕에 할 거라면장기적으로 단과대든 총학생회든 학생회장은 한번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언제 이렇게 똑똑한 애들을 리딩해보겠나!? 나도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학생회장이 되는 방법은

차후 리더십을 다룬 글에서 다루겠다그 글에서 과대뻔대과책(새내기맞이책), 학생회장동아리장 등에 대해서 다루겠다.



7)나가며

학생회는 학생들의 기구다학생들의 의사를 대리대표하는 기구다.

그런 점에서 분명히 학생회의 시작은 투쟁조직이었을 거다왜냐하면 옛날 민주화 이전에는 많은 학생들이 민주주의를 열망했고그 의사는 학생회를 중심으로 표출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더 이상 투쟁은 대학생활의 중심이 아니다따라서 요즘 대학생들이 무엇을 원하든 간에학생회는 그 대학생들의 의사를 대리하고대표해야 한다.


따라서 더 이상 다수가 아닌 소수 운동권들이 그들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투쟁기구로 학생회를 이용해서는 안 된다그건 마치 밴드동아리가 그들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회를 장악해서 공연대행기구로 이용해서는 안 되는 것처럼!

물론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일반 학생들이 자기가 속한 공동체학과/학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게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러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학과/학교를 넘어 더 큰 공동체인 국가와 사회에도 가진다면 좋을 것 같다.


여러분들도 대학생이 된다면 어느 순간 한번쯤은나의 관점을 포함한 여러 다양한 관점과 입장들에 대해 고민해보길 추천한다.



왜냐면 이제 스스로 판단할 줄 아는알아야 하는 어른이니까!





!!

사실 이번 학생회와 운동권 이야기에는

그에 대한 저의 생각이 많이 들어갔습니다.

여러분들이 필터링하셔서 사실 위주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